학문
조선시대엔 의녀들이 양반의 첩이 되는걸 희망했다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조선시대에는 궁에서 일했던 의녀들이 양반의 첩이 되고자 했다는데요. 물론 양반이라는 신분이 상위계급이라 그랬겠지만, 다른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녀들은 궁궐에서 일하면서 일정 수준의 생활비를 지급받았지만, 미래에 대한 보장은 없었습니다. 반면, 양반의 첩이 된다면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궁궐에서 오랫동안 일한 의녀들은 노후에 버림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비해 양반의 첩이 된다면, 적어도 일정 수준의 생활비와 보살핌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녀들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았으며, 특히 의녀들은 천대받는 직업이었습니다. 따라서 의녀들은 양반의 첩이 되어 신분 상승을 꿈꿨습니다. 또한, 양반의 첩이 되면 경제적으로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의녀는 조선 3대 태종 왕때 생겼습니다. 처음에는 한양에 사는 노비들 가운데서 뽑았는데 세종 때부터는 지방에서도 뽑았습니다. 각 지방 관청에서 열 살에서 열다섯 살 사이의 영리한 노비를 두 사람 뽑아 제생원에 올려 보냈습니다. 제생원에서 공부를 마치면 다시 지방으로 내려가 의녀로 일했습니다. 의녀의 신분이 미천하다 보니 양반들과 혼인을 통해 신분 상승을 이루고자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