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심체요절은 어떻게 프랑스에서 소장하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책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직지심체요절은 현재 프랑스 박물관에 있는데요. 이게 왜 프랑스에서 소장하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C.P란 꾸랑이 프랑스공사관 통역서기관으로 한국에 체류하던 때 그의 상관이자 유일한 외교관 동료였던 쁠랑시(Victor Collin de Plancy)를 말하며 당시 직지 소장자였다. 위 기록을 통해 상하권 중 상권이 결락된 채 하권만 소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태종의 명령’이란 1403년(태종 3)에 주조된 활자인 계미자(癸未字)를 가리킨다. 꾸랑이 한국의 고서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한국서지』를 편찬하며 위와 같이 기록한 덕에 훗날 『직지심체요절』의 소재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책이 프랑스 국립도서관으로 들어가게 된 과정은 조금 복잡한데, 장서가 쁠랑시는 1886년 한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후 초대 주한프랑스대리공사로 부임한 인물이었다. 그는 우리나라에 머물면서 고서 및 문화재를 다량 수집하여 귀국하였고 쁠랑시의 컬렉션은 그 목록이 작성되어 관련 분야에 유통될 만큼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큰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그의 장서는 1911년 골동품상 브베르(Henri Vever)에게 180프랑에 팔렸다가 브베르 사후 그 상속인이 관리하던 것을 1950년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기증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재 첫 장이 결락된 흥덕사 간행 주자본 『직지심체요절』 하권 1책 38장이 프랑스 국립도서관 동양문헌실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취암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직지심체요절』은 상하권 완질의 상태로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영광 불갑사(佛甲寺)에 소장되어 있다.
출처: 우리역사넷 직지심체요절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86년 고종 23년 조불수호조약 체결 후 대한제국 시절 초대프랑스 공사였던 콜랭드 플랑시가 정식으로 직지심체요절을 구매해 가져갔고 이를 1950년 프랑스 독립 도서관에 기증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이 여전히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있는 이유는 직지심체요절은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있은 뒤 초대 주한 대리공사를 지냈던 프랑스인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가 1880년에서 1890년 사이 우리나라에서 구매하여 프랑스로 가져갔습니다. 플랑시가 죽은 후 직지를 소유하고 있던 예술품 수집가 앙리 베베르의 유언에 따라 1950년에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기증되었습니다. 도난 당하거나 약탈한 문화재는 그 경위가 밝혀질 경우 본국에 돌려주는것이 국제법상 관례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도난 당하거나 약탈한 문화재가 아니라는 이유로 프랑스는 반환을 거부하고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