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3.03.07

우리 전통무술인 태권도는 어느시대에 생겨났나요?

우리 전통 무술인 태권도는 올림픽정식종목으로 채택될만큼 그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데요

우리역사의 어떤시점에 태권도가 생겨났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태권도의 연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동쪽 만주 주변 한민족의 부족국가에서는 영고, 무천, 동맹 등으로 불리운 지례에서 하늘을 숭상하는 가무, 유희 오락을 통해 부족 단합과 많은 수확을 기원했다. 이런 큰 잔치 중의 가무, 유희는 자연스럽게 경쟁의식을 갖게 되어 고대 그리스인들의 신전제례 행상인 올림피아 제천처럼 경기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부족의 방어와 세력확대를 위해서는 전투능력 향상을 도모해야했으며, 자연스럽게 승천 제례의 신체활동은 투기를 중심으로 경기화되고 발달하게 되었다. 태권도는 이런 가운데 한민족 고유의 투기 형태로 생성되었다.

    현대시대의 태권도는

    국운 쇠퇴와 더불어 무인들의 몰락은 군대의 해체 등으로 가속화되었고 일제는 강압적인 무력침략을 통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었다. 일제의 한민족 탄압이 강회되기 시작하고 항쟁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백성들의 무예수련은 금지되었다. 그러나 독립군, 광복군 등 항일조직의 심신 훈련방법으로써나 개인적인 무예 전승 의욕에 따라 태권도(택견)의 명맥은 미미하지만 민족의 숨결속에 이어지고 있었다. 8.15 해방 후 잊혀진 우리의 태권도를 되찾자는 뜻 있는 이들이 모여서 후진을 양성하였으며 점차 우리의 뿌리를 찾아가게 되어 드디어 1961년 9월 16일 대한태권도협회가 창설되고 1963년 2월 23일 대한 체육회에 27번째 가맹단체로 가입되어 1963년 10월 9일 전주에서 개최된 제 44회 전국체전에 태권도가 공식 경기로 처음 참가하게 되었다. 오늘날 인류의 스포츠제전인 올림픽대에서까지 각광받고 있는 태권도 경기는 바로 25년전인 1963년의 전국체육대회를 계기로 경기 규칙과 보호용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출처: 대한태권도협회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권도는 일제시대에 가라데를 모티브로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본격적인 현대 태권도는 1945년 이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권도는 한국의 전통무술이 아닌 현대무술로 기원은 후술하는 이른바 5대관이고 이 와중에 한국군 토종 군용무술을 고심하던 최홍희가 자신의 부대에 설립한 군대 도장 오도관에서 ITF 태권도의 원형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해방 전후 국내에 무술들을 가르치는 도장들이 설립되었는데 1944년 설립된 청도관을 필두로 송무관, 무덕관, 조선연무관 권법부, YMCA권법부 다섯개의 도장이며, 이들 5개의 도장은 기간도장, 5대관으로 불리며 현대 태권도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권도는 한국의 전통 무술이 아닌 현대 무술로 기원은 후술하는 이른바 5대관이고, 이 와중에 한국은 토종 군용무술을 고심하던 최홍기가 자신의 부대에 설립한 군대 도장 무도관에서 itf 태권도의 원형이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해방 전후 국내 무술들을 가르치는 도장들이 설립되었는데 1944년 설립된 청도관을 필두로 성무관, 무덕관, 조선 연무관 권법부, YMCA 권법부등 다섯 개 도장이 그것들입니다. 이들 다섯개의 도장들은 기간도장 또는 5대관으로 불리며 현대 태권도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 무술 중 하나로, 20세기 초반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발전해왔습니다. 하지만 태권도의 시초는 한국 역사에서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태권도의 기원은 명홍조선왕 때인 1790년대에 조선에서 발생한 후백제무술과 연관이 있습니다. 후백제무술은 전통적인 무술인 태권도의 기본기술인 태극과 팔괘, 8단지와 같은 판소리의 공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세기 초반에는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로 인해 전통 무술인 태권도가 부정되고 일본 무술인 카라테와 유사한 형태로 변형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독립 이후에는 전통적인 무술로서의 태권도가 복원되었고, 1960년대에는 기술의 표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어 지금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견은 삼국시대 부터 있었지만 태권도는 생긴지는 얼마 안되었습니다. 1945년 일제 해방을 전후해 국내에 여러 개의 무술 도장이 생기게 된다고 하는데여. 그 중 소위 '5대관'(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이 가장 유명하였는데, 이 도장들이 분화하여 생긴 9개관이 1960년대에 합쳐져서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태권도는 단군 이래 우리 민족과 오랜

    역사를 같이 해 온 한국 전통 무예이다. 한국 무예의 발달은 기원전 2333년

    한반도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

    건국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출처: 국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