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몇개월 때 보내는게 좋을까요?
언제까지 아이를 집에서 보육하는게 가장 좋을까요?
빨리 보내도 아이 정서나 발달에 문제가 없는지도 궁금하고
늦게 보내는것과 빨리 보내는 것 양쪽 모두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아기에는 주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가능하다면 두돌이나 18개월까지는 주양육자와 애착형성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이 애착형성은 아이의 발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두돌 이후쯤이나 돼서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아이가 심심해하거나 양육자가 육아로 힘들다면 돌이 지난 이후 짧게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애착과 관련된 자료입니다.
https://naver.me/xrPdmcmV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략적으로 두돌전후로 보내는 것이 좋으며
어느정도 부모와 애착형성이 된 후에 가는것이 좋습니다
일찍보내면 부모의 양육이 줄어들어 활동에 편한점이 있을수있습니다
늦게 보내면 그만큼 육아의 부담이 커질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대개는 가정마다, 아이마다 상황은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만 3세경 아이가 어느정도 소통이 될 때 보내는 경우가 많으나,
그 전에 보내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래도 부모를 알아보고
애착이 형성된 이후에 보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일찍 보냈을때 장점은 부모가 편하다는 것 밖에는 없고
단점은 애착관계 형성이 늦어진다는 것입니다
늦게보냈을때 장단점은 반대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에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딱 정해져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두돌은 지나고
부모와애착이 형성된 이후에 보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과 같은 경우 아이가 주양육자로부터
양육되고 약 만 3세가 지난 이후에 보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전에 보내면 분리불안 증세도 보일 수 있는 등 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저희는 맞벌이를 하는지라 돌지나고 부터 어린이집을 보내고는 했었는데요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는 3세때 어린이집을 보내는 분들이 제법 있습니다. 어린이집 보내시려면 어린이집에 티오가 있는지 보시고 상담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장점은 신체 및 언어 발달이 빨라 질수 있습니다. 단점은 감기 등의 잔병치레가 많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어린이집을 보내는 시기는 각 가정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은 4-5세부터 보내는 경우가 많지만 맞벌이 부부의 경우
돌이 지난 시점에 보내기도 합니다.
맞벌이와 아이를 봐줄 사람이 없는 경우 이른 시기에 보내기도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년까지 부모와 아기간의 관계나 애착등은 아이가 평생을 살아가는데에 좋은 밑거름이 되는 시기 이므로
어린이집을 몇 살부터, 언제 보내냐는 아무래도 가정의 상황이나 부모님이 상의해서 판단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18,24,36개월 등을 기준으로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 많습니다.아기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기도 하고 다양한 활동에 관심을 갖을 수 있게 되는 36개월 기준으로 보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가 엄마와 떨어질 준비가 되었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아이가 분리불안이 심하고, '엄마 껌딱지'라서 주 양육자가 아닌 다른 가족, 아빠나 할머니에게도 잘 가지 않는다면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이 아이에게 어린이집은 엄마가 없는 무섭고, 불안한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