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색다른올빼미124
색다른올빼미12423.04.02

쇠똥구리는 왜 똥을 먹는건가요??

한번도 보지는 못했지만 쇠똥구리는 똥을 굴리고

똥을 먹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소똥만 먹나요??

왜 똥을 굴리고 먹고 하는걸까요? 이유가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구리는 이름처럼 소의 똥을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먹이를 먹습니다. 주로 작은 곤충, 벌레, 지렁이 등을 먹으며, 동물의 시체, 썩은 나무, 곰팡이 등도 먹습니다. 소의 똥을 먹는 이유는 그 안에 있는 남아 있는 영양분을 이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소똥구리가 먹는 똥이 모든 소의 똥인 것은 아니며, 건강한 소의 똥만 먹으며, 소가 질병에 걸렸을 때는 피하려고 합니다.


    소똥구리가 소의 똥을 먹는 이유는 그 안에 있는 영양분을 이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소의 먹이인 초초무나 건초 등은 소에서 소화되지 못하고 소의 똥으로 배설될 때까지 장내에 남아 있습니다. 이렇게 배설된 소의 똥 안에는 아직 소화되지 못한 영양분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먹는 것으로 소똥구리는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똥구리는 소의 똥을 먹음으로써 똥 안에 있는 유익한 세균을 섭취하여 자신의 소화기관 내 세균 균형을 유지하고, 질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가 질병에 걸렸을 때는 소의 똥에 병원균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구리는 일종의 벌레이며, 주로 새나 포유류의 똥을 먹습니다. 먹은 똥을 굴려 다른 장소에 보관하는 행동은 먹이의 공급량이 적거나 겨울철처럼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먹이를 보존하기 위한 전략으로 생각됩니다. 굴려서 보관해두면 먹이가 부족할 때 먹을 수 있고, 먹이가 잘 썩지 않도록 똥 속에 있는 섬유소를 파괴하여 먹이를 더 잘 소화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생존을 위한 적응적인 행동으로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구리는 왜 똥을 먹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아직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단 쇠똥구리가 먹는 똥은 다른 동물의 먹이를 섭취한 뒤 소화하지 못하고 배출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아직 영양분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먹이가 부족할 때 똥을 먹어서 이러한 영양분을 보충하려는 것으로 추측되기도 합니다.

    또한 쇠똥구리가 먹이 사이에서 먹이에 의한 유해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쇠똥구리는 똥을 먹어서 소화기관에서 유익한 세균을 추출하고, 이 세균이 자신의 배에서 유해한 세균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쇠똥구리가 똥을 먹는 것은 비교적 흔한 현상은 아니며, 다른 먹이가 부족한 상황이나 건강에 이상이 있을 때에만 보이기 때문에, 그들의 일상적인 행동으로는 보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구리는 역시나 똥을 먹지 않습니다.

    그 안에 알을 넣고 부화시키고 애벌래의 먹이로 이용하는데 동그랗게 만들지도 않습니다.반은 동그랗지만 서양 배처럼 위쪽이 둥그렇게 튀어나와있고 그곳에 애벌래가 들어있습니다.왜 거기다 낳았냐고 하면 원래 파브르책을 봐야하지만...허튼 동그란 곳 정가운데에 싸놓으면(?)뜨거운 여름날의 햇빛때문에 덩이 딱따악 하게 굳어버려서 나가지 못해서 위쪽에 싸놓는(?)것입니다.

    또 왜 동그랗게 굴리나면 역시나 만들기도 쉽고 자기가 먹을게 아니라 애벌래가 먹을거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먹는게 아닙니다.그렇다고 쇠똥구리가 개성적으로 네모나 세모,별처럼 굴리려면 애벌래가 나오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만들기도 어려워서 그런겁니다.


  • 쇠똥구리는 똥을 먹지 않습니다. 쇠똥구리는 똥을 움직여서 먹이인 곤충들이 숨어 있는지 확인하고 먹이를 찾아내기 위해 굴리는 행동을 합니다. 즉, 똥을 굴리는 행동은 먹이를 찾기 위한 행동입니다. 이 행동은 쇠똥구리의 장갑수염이나 발광기관과 같은 특수한 구조와 함께 존재합니다.


  • 쇠똥구리는 똥을 먹어서 그 영양분을 활용합니다. 먹은 똥은 소화가 잘되어 있어서 비록 약간의 영양분만 먹어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또한 쇠똥구리가 똥을 굴리는 이유는 먹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똥을 굴리면서 모양이 둥글어지고 부드러워져서 먹기 쉬워집니다. 쇠똥구리의 먹이는 소똥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의 똥도 먹기 때문에 생태계에서는 분해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 배설물에 포함된 미량의 영양소을 섭취하기 위함입니다.

    사실 쇠똥구리는 쇠똥만 먹는 게 아니라 다양한 짐승의 똥들도 먹이로 삼고 있습니다.

    다만 쇠똥구리의 특이한 점은 한 번 입을 대면 계속 먹기 때문에 먹으면서 스스로도 배설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식습관이 생긴 이유는 먹이인 똥이 영양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선 대량으로 섭취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쇠똥구리의 소화기관 기능은 동물이 배설한 똥에 미량 남아있는 영양소를 걸러내고 나머지는 다시 배출하는 구조입니다. 이런 목적에 매우 최적화되어 있어 먹이인 똥을 먹기 시작하면 거의 즉시 쇠똥구리 자신도 똥을 내놓기 시작하고 먹는 것을 멈추면 배변도 곧 멈추게 됩니다.

    참고로 쇠똥구리는 알도 똥에 낳는데요, 똥의 독성이 오히려 포식자로부터 지켜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구리는 동물의 한 종류로서, 먹이로는 주로 곤충을 먹지만, 때로는 곤충의 액체나 작은 동물의 똥도 먹습니다.

    똥을 굴리는 이유는 먹이 수급이 부족할 때 먹이를 찾기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는 습성 때문입니다. 또한, 작은 똥이나 시체에 있는 알갱이에는 유익한 성분이 많아서 이를 섭취하기 위해서도 먹기도 합니다.

    하지만, 똥이나 시체에는 세균이나 질소가 많아서 위험한 성분도 있기 때문에, 쇠똥구리가 먹는 것은 우리가 따라해선 안 되는 행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구리는 쇠똥을 굴리고 먹는모습이 많이 발견되어 쇠똥구리라고 불리게 되었는데요. 쇠똥구리는 다른 동물의 똥들도 먹습니다.

    왜 똥을 먹느냐는 조금 복잡한 질문입니다. 모든 식물,곤충,동물들은 생존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진화를 해 왔기에 먹이경쟁이 거의 없는 똥을 먹는것이 생존에 유리하여 소화기관이 그렇게 진화되지 않았을까 개인적 추측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쇠똥구리는 똥을 먹는 이유는 생존에 필요한 영양소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쇠똥구리는 주로 동물의 똥을 먹는데, 이 똥에는 아직 소화되지 않은 식물 섬유, 유기물,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똥을 먹음으로써 쇠똥구리는 이 영양소들을 섭취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쇠똥구리는 먹이로 사용할 똥을 구하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기도 합니다. 이동 경로를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머리 위에 있는 먼지처럼 보이는 감각기관인 안테나를 사용하여 똥의 위치와 냄새를 감지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생존에 매우 중요하며, 쇠똥구리가 먹이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쇠똥만 먹는 게 아니라 다양한 짐승의 똥들도 먹이로 삼는다. 다른 식충과 다른 특이한 점은 한 번 입을 대면 계속 먹기 때문에 먹으면서 싼다는 거다. 장앙리 파브르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12시간 이상을 먹으면서 쌌는데 그때 배설한 양을 재어보니 자신의 체중 이상의 양을 배설했다고 한다. 인간으로 치자면 300인분(=60kg) 이상을 한 자리에서 먹어치우면서 그만큼의 응가를 내놓은 것. 이런 식습관이 생긴 이유는 먹이인 똥이 영양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선 대량으로 섭취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쇠똥구리의 소화기관 기능은 동물이 배설한 똥에 미량 남아있는 영양소를 걸러내고 나머지는 다시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런 목적에 매우 최적화되어 있어 먹이인 똥을 먹기 시작하면 거의 즉시 쇠똥구리 자신도 똥을 내놓기 시작하고 먹는 것을 멈추면 배변도 곧 멈춘다. 말그대로 미량 영양소를 걸러내는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