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김재형
김재형22.10.25

하늘은 왜 파란색이죠??????

길 가다가 생각난건데 하늘은 왜 파란색인가요? 무색일수도 있을거 같은데 왜 파란색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밤에는 왜 검정색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전파에너지가 지구에있는 공기분자와 부딪혀 반사및 굴절이 되는 산란현상이 일어난 뒤 파란빛만남아 우리눈에 들어오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 거리를 이동한다면 붉은색보다 파란색 계열이 더 많이 움직이는 바쁜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즉, 움직이는 횟수가 많을수록 진공으로부터 진입된 태양의 빛이 지구 대기층 등의 장애물을 지날 때 방해를 많이 받게 되므로 빛이 흩어지는 산란이 잘 일어납니다.

    사실 파란색보다 보라색이 더욱 파장이 짧으므로 보라색 하늘을 보여야 하나 태양에서 오는 가시 광선 중 보라색은 파란색보다 빛의 양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보라색 부분의 빛은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하기 전에 이미 사라지고 적은 양만 남아 우리 눈까지는 도달하지 못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하늘의 색은 보라색에 가까운 색을 띠게 됩니다.


  • 기본적으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고 이 빛이 인간의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 짧은 파장의 빛 중 하나가 바로 푸른색이며, 따라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반대로 밤에는 빛이 없으므로 검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