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4.04.12

안개와 구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른 새벽 앞이 안보일정도로 자욱한 안개나 파란하늘 몽글몽글 솜사탕 같이 떠있는 구름을 본적이 있습니다. 근데 그 둘은 모두 수증기 인데 안개와 구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와 구름은 모두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지만, 발생 위치와 크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안개는 지표면 가까이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며, 수평 시정이 1km 미만일 때 안개라고 합니다. 반면 구름은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되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비, 눈, 우박 등을 만들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해, 안개는 발이 땅에 닿은 수증기이고, 구름은 하늘을 나는 수증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습기를 가진 공기가 냉각돼 응결된 상태인데요. 아침에 안개가 만들어지려면 태양에너지를 받지 못하는 밤에 지면의 복사냉각(대기와 지표면이 냉각되는 현상)이 빠르게 일어나야 하는데, 복사냉각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한 야간에 왕성하게 일어나요. 구름은 대기 중으로 상승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수적이나 빙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출처 : 기상청 - 기상현상

    쉽게 말하면 땅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서 물방울이 되면 안개이고 수증기가 상승해서 하늘에서 냉각되면 구름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과 안개는 생성되는 과정에 약간 차이가 있는데요.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이 있어야 만들어집니다. '공기 상승 → 단열 팽창 → 온도 하강 → 이슬점 → 수증기 응결' 과정을 거치지요. 반면 안개는 바람이 세지 않은,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안정된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구름과 발생과정이 비슷하지만, 그 차이는 밑 부분이 지표면에 접해 있으면서 시정이 1km 미만이면 안개, 떨어져 있으면 구름이라고 하며, 산허리에 낀 안개는 산기슭에서 보면 구름이지만, 등산하는 사람에게는 안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