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4.03.29

야구공이 변화구가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야구에 보면 직구, 커브, 체인지업 등 여러 구종이 있습니다.

어떻게 야구공처럼 딴딴한 공이 글러브로 공이 들어가기 전까지 휠 수 있는 걸까요?

회전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애초에 야구공을 투구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특정 모양으로 실밥처리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수가 던지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회전으로 인한 변화구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공을 던질 때 사용된 손목의 힘과 손가락을 이용한 회전 부여 등의 효과로 야구공의 실밥을 통하여 회전하게 되고 반영된 힘에 의해서 다양한 공의 회전 등의 결과가 나오게되죠.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이 변화구가 되는 원리는 마그누스 효과입니다. 이 효과는 물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아 경로가 휘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투수들은 이 원리를 활용하여 변화구를 만듭니다.

    패스트볼 (Fastball): 투수가 공을 회전시키지 않고 던질 때, 공의 진행 경로는 일정하게 직진합니다.

    커브볼 (Curveball): 투수가 공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공의 진행 경로가 휘어집니다. 이는 야구에서 커브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구는 투수의 그립과 회전 방향에 따라 공의 궤적을 조절하여 타자를 혼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투수가 공을 던질 때 손목과 손가락을 사용하여 공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그 회전력과 실밥의 공기흐름으로인해 공을 휘게 만듭니다.

    이 회전력은 공이 공중에서 움직일 때 공기 저항을 줄여주고, 공을 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은 직구 커브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으로 던져

    지며 이러한 구종들은 공의 회전에 의해 공기 역학적 효과를 일으켜 다양한 궤적을 그립니다.

    직구는 손가락에 힘을 가하지 않고 던지는 가장 기본

    적인 구종입니다. 직구는 공기 저항을 극복하고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커브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공을 회전시켜 던지는 구종입

    니다. 공이 회전하면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공의 궤적이 휘어집니다. 마그누스 효과는 회전하는 공 주변의 공기 흐름이 불균형하게 만들어져 공에 힘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커브는 일반적으로 직구보다 느리지만 휘어지는 궤적 때문에 타자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체인지업은 직구와 비슷한 속도로 던지지만 회전 방향을 바

    꾸어 타자를 속이는 구종입니다. 체인지업은 일반적으로 직구보다 느리지만 갑작스럽게 움직이는 궤적 때문에 타자가 맞추기 어렵습니다.

    슬라이더는 커브와 비슷하게 던지는 구종이지만 측면 방향으

    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슬라이더는 커브보다 빠르고 궤적도 덜 휘어지기 때문에 타자가 맞추기 어렵습니다.

    포크볼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공을 강하게 회전시켜 던지

    는 구종입니다. 포크볼은 공기 저항을 많이 받아 느리게 날아가지만 강한 회전 때문에 타자가 때릴 때 방망이가 미끄러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낙하구는 공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아래로 떨어뜨리는

    구종입니다. 낙하구는 타자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타격하기 어렵습니다.

    야구공의 궤적은 공의 회전 속도 방향 그리고 공기

    저항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다양한 구종을 던지는 투수는 이러한 요인들을 이용하여 타자를 속이고 삼진을 잡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야구공이 변화구로 던져지는 원인은 여러 물리적 원리와 투수의 기술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로 공의 회전, 그립(잡는 방식), 그리고 투구 동작의 방향이 변화구의 종류와 특성을 결정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회전: 투수가 공을 던질 때 공에 회전을 가하는 것은 변화구의 기본입니다. 공의 회전축과 회전 속도는 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위로 회전하는 공(상단 회전)은 하강하는 데 더 오래 걸리며, 이는 커브볼이나 슬라이더와 같은 변화구를 만듭니다. 반면, 빠르게 아래로 회전하는 공(하단 회전)은 더 빨리 하강하며, 이는 패스트볼의 일종인 싱커(sinker)와 같은 효과를 만듭니다.

    2. 그립: 공을 잡는 방식은 공의 회전 방식과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공의 이음새에 위치시키는 방식이나 공을 손에 꽉 쥐거나 느슨하게 쥐는 것 등이 변화구의 종류를 결정짓습니다. 커브볼을 던질 때는 손가락으로 공의 상단을 눌러 아래로 향하게 회전시키고, 슬라이더는 공을 옆으로 슬라이딩하듯이 던져 옆으로 회전을 가합니다.

    3. 투구 동작과 방향: 투수의 팔 동작과 공을 놓는 순간의 방향도 변화구의 종류와 효과에 중요합니다. 팔을 좀 더 옆으로 휘두르거나, 팔꿈치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공의 경로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인지업은 팔의 움직임을 패스트볼처럼 유지하면서 손의 속도를 줄여 공의 속도를 늦추는 방법으로, 타자의 타이밍을 빗나가게 합니다.

    4. 공기 역학: 공이 회전하면서 날아갈 때, 공의 표면과 공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마그누스 효과(Magnus effect)가 변화구의 궤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회전하는 공 주변의 공기 흐름은 공의 한쪽 면을 더 빠르게 흐르게 하고 반대쪽 면을 더 느리게 흐르게 함으로써, 공이 상승하거나 하강하거나 옆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만듭니다.

    이처럼 투수가 공을 던질 때 여러 물리적 원리와 기술을 응용하여 다양한 변화구를 만들어내며, 이는 야구 게임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이 휠 수 있는 이유는 회전 때문입니다. 야구공을 던질 때 힘과 함께 공에 회전을 가하면 공기역학적 효과가 발생하여 공의 궤적을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직구는 공의 회전이 없거나 적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덜 받아 직선으로 날아갑니다. 커브는 공이 옆으로 회전하며 날아가기 때문에 마그누스 효과라는 현상으로 인해 공의 궤적이 휘어집니다. 체인지업은 공이 앞뒤로 회전하며 날아가기 때문에 직구보다 느리게 느껴지고 타자의 타이밍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처럼 야구공의 회전은 공의 궤적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것이 바로 야구에서 다양한 구종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는 공의 궤적이 바뀌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공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마그누스 힘(Magnus force)'입니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공의 위쪽이 저압이 되고, 공의 아래쪽이 고압이 됩니다. 따라서 공은 위 방향으로 양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르면 유체의 속도가 변할 때 빠르게 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느리게 변하면 압력이 커집니다. 다시 말해서 공에 작용하는 대기의 압력이 달라지고 공의 오른쪽 공기가 느려져서 압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압력이 낮은 쪽으로 더 밀어주게 되고 공은 왼쪽으로 휘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