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에서 계속해서 친구들을 때리는 아이가 있을 때, 어떻게 하면 이 행동을 고쳐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집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이런 행동을 유치원에서만 보인다면 부모님들이 많이 당황할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가 유치원에서 잘 지낼 수 있도록 어떤 방법으로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미흡하기 때문에 장난으로 때리거나 또는 화가 나거나 불편한 감정들을 공격적인 행동으로 표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치원에서 아이가 친구를 때리는 행동을 했을때는 대화를 통해서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물어보고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친구를 때리면 친구가 마음아파하고 상처받을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고 어떤 상황에서든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하면 안된다는것을 단호하게 이야기 해야 합니다. 더불어 감정표현하는 방법이나 친구를 대하는 방법, 사이좋게 지내는 방법등을 가르쳐주시는 것이 아이의 사회성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집과 유치원에서 다른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주로 환경의 변화나 또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때문일 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바로잡기보다 왜 그런 행동을 보이는지 이해하려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유치원에서 어떤 상황에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마음이 어땠는지 부드럽게 물어보며 대화를 시작해 보세요. 이를 통해 아이가 감정 조절과 표현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유치원 선생님과 협력하여 일관된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친구들과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모범으로 보여주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와 다툼이 일어날 때는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주고, 배운 내용을 연습해보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의 지지와 이해가 뒷받침되면, 아이는 점차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자기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을 해결하려면 유치원 선생님과 협력해 일관된 규칙과 훈육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에서도 다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도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며, 감정을 표현하는 대체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유치원에서 친구들을 때리는 행동을 보인다면, 먼저 아이와 차분하게 대화를 나누고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유를 파악해야합니다. 그후, 대체할 긍정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때리ㄴ 행동이 말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려주세요. 또한 화가 나거나 속상할 때 친구ㅔ 이기하거나 선생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등 다른 방법을 제시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치원에서 친구를 때리는 것이 아이가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의 발로일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나누어 유치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어떤 기분이 드는지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우선은 가정에 이러한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것이 좋으며
아이에게 유치원에있을때 나타나는 특정 징후나 불안요인을 체크해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에서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부모 입장에서 매우 당황스럽고 걱정스러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집에서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유치원에서만 특정 행동을 보이는 경우는 아이가 어떤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행히도 이 행동은 적절한 지도와 대화를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때리거나 공격적인 행동은 종종 충동 조절의 부족에서 비롯됩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을 고치려면 아이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대체 행동을 가르치며, 일관된 규칙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와 유치원이 협력하여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자기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행동 변화를 기다리고, 작은 변화부터 칭찬하며 긍정적인 방식으로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참조가 되셨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