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3.27

얼음의 투명도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얼음을 보면 투명한 경우도 있고 불투명한 경우도 있는데, 물이 얼음으로 만들 때 어떤 조건들이 투명함과 불투명함을 결정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순수하게 그냥 얼면 모두 다 투명합니다.

    불투명해지는 이유는 기체가 미처 빠져나가지못해 같이 얼어버려서 불투명해 보이는겁니다.



  •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공기 포함 여부와 결정 구조에 의해 결정됩니다. 물이 얼면 일부 공기 포함물이 얼음 내부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기 포함물은 얼음 내부에서 빛을 방해하게 되어 투명도를 낮추게 됩니다. 또한 결정 구조도 투명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얼음의 결정 구조는 결정이 형성될 때 물 분자가 서로 어떻게 배열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결정 구조가 규칙적이고 조밀할수록 투명도가 높아집니다. 그러나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고 공기 포함물이 많은 경우 얼음은 불투명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의 투명함은 얼음속에 공기나 불순물이 있냐 없냐로 경정됩니다. 얼음은 육가기둥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그 자체적인 구조로는 빛이 통과되어서 투명한데요. 그 구조안에 공기나 불순물이 있으면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면서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안에 기포가 갇혀있는경우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뜨거운물을 얼리거나 매우천천히 서서히얼게하면 투명한얼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도는 얼음을 얼리는 물에 존재하는 불순물 정도와 종류에 영향을 받습니다.

    - 불순물 ↑, 얼음투명도 ↓

    - 불순물 ↓, 얼음투명도 ↑


    추가로 불순물이 동일조건일때 끓인물을 얼리게 되면 조금더 투명한 얼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의 투명도는 일단 물이 어는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을 냉동실에 넣어서 천천히 물이 얼게된다면 투명한 얼음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래 얼음이 순수하게 그냥 얼면 모두다 투명합니다.

    불투명해지는 이유는 기체가 미처 빠져나가지못해 같이 얼어버려서 불투명해 보이는겁니다.

    (물의 특수한 육각구조형식의 수소결합 때문에 그 빈공간에 기체들이 끼어있는것)

    보통 물속에 기체들이 많이 녹아있잖아요.

    2. 얼음을 천천히 얼리게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기체가 충분히 빠져나갈수있는 시간을 주면서 얼리는

    방법과 바로 얼려버려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미처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해지는 실험이 있겠지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의 결정 구조에 의해 결정됩니다. 얼음은 물 분자들이 고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는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때 굴절되는 경로가 예측 가능합니다.

    얼음의 투명도는 빛의 통과율로 표시됩니다. 투명한 물질일수록 빛의 통과율이 높고, 불투명한 물질일수록 빛의 통과율이 낮습니다. 얼음은 빛의 통과율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투명한 것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얼음이 밀도가 높아지거나 결정 구조가 불규칙해지면서 투명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기나 물 분자 등이 얼음에 포함되어 얼음의 결정 구조를 방해하면 투명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음의 투명도는 결정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결정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얼음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의 투명도는 결정되는 주된 요인은 물의 순도와 얼음의 결정 구조입니다. 얼음의 결정 구조는 얼음이 생성될 때 얼음 결정이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얼음이 결정될 때 분자들이 배열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순수한 물로 만들어진 얼음은 일반적으로 투명합니다. 그러나 물에는 불순물이 섞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이 얼음에 포함되면 얼음이 투명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얼음이 만들어질 때 물 분자가 얼어들면서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는데, 이 패턴에 따라 얼음이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빠른 얼음 제조 과정에서는 물 분자가 빠르게 얼어붙기 때문에 결정 구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투명하지 않은 얼음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음의 투명도는 물의 순도와 얼음의 결정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 얼음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은 맑은 물이 얼 때 발생합니다. 얼음은 물이 얼어서 결정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분자간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일어나면서 생기는 빈공간에 빛이 투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이 얼 때 얼음의 투명도는 물의 투명도와 크게 연관됩니다.

    하지만, 불순물이 섞여 있는 경우, 또는 물이 빠르게 얼거나 결정체가 큰 경우 등 얼음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불규칙성이 생기면서 투명하지 않은 얼음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불순물이 섞인 경우, 얼음 내부에서 불규칙한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얼음이 투명하지 않게 됩니다. 빠르게 얼거나 결정체가 큰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분자 간 거리가 더 멀어져 빛이 산란되는 효과가 증가하여 투명하지 않은 얼음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얼음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은 맑은 물이 얼 때, 얼음이 형성될 때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의불투명한것은 물 속의 기포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이 갑자기 얼면 기포가 남아 불투명하고

    천천히 얼면 기포가 충분히 빠져나가 투명한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7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것은 결정될 때의 조건과 그 후 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첫째, 얼음이 투명한 경우는 보통 청정한 물에서 얼을 때 발생합니다. 얼음이 투명하게 만들어지는 이유는 물 분자의 구조 때문입니다. 물 분자는 분자 간에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소 결합이 강력하게 작용해서 얼음이 될 때 분자들이 서로 밀착하게 결합합니다. 이로 인해 빛이 산란하지 않고 직선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투명한 얼음이 됩니다.

    둘째, 불투명한 얼음은 물 안에 공기나 다른 물질이 섞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순물이 많은 물에서 얼면 물 분자들이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 구조가 일정하지 않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기나 다른 물질이 얼음 구조 내부에 포함될 경우 얼음 내부에서 빛이 산란되어 투명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얼음이 투명하게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물이 최대한 청정하고 순수해야 하며, 불투명한 얼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얼음이 형성되기 전에 물을 충분히 교체하여 불순물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