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10

독감 예방 주사는 걸리고 맞으면 소용없나요?

나이
26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독감 예방 주사를 맞는 날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독감 걸리고 나서 예방 주사를 맞으면 소용이 없는지 아니면 소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독감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a,b 형 등의 분류)

    독감 예방 접종은 수많은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금년에 가장 유행할것으로 해당되는 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해 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미 걸린 종류의 독감 이외의 면역력을 얻고싶으면 독감접종을 하셔도 됩니다.


  • 소용 없는 것이 맞습니다. 비단 독감 뿐만 아니라 예방 주사는 백신으로 병에 감염이 되기 전에 감염이 되지 않도록 미리 맞아서 항체를 확보해놓기 위해서 접종 받는 주사입니다. 그런데 이미 질병에 걸리고 난 상태라면 항체는 몸에 만들어져 있을 것이고 주사를 맞아보았자 항체를 새롭게 만들어주는 효과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별다른 소용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독감 예방 주사는 감염이 되지 않거나 감염 후에 병의 경과나 기간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접종하는 것으로 이미 감염이 되었다면 접종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2-3개월안에 접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독감은 1년에 한번씩 접종을 합니다. 11월부터 다음 해의 4월경까지 유행을 반복하기 때문이지요. 독감은 a형과 b형이 있고 예방 접종은 a형 2종류, b형 2종류에 대한 4가 백신을 접종하지요. 독감에 걸리게 되면 a나 b중 하나에 걸리게 되는데 걸리고 나서 접종을 하게 되면 나머지 1개의 유형에 대한 예방은 가능해서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급적 10월 중순경 접종을 하고 2가지 유형 모두 예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독감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다면 이미 몸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체형성을 하기 위한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