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수려한긴꼬리48
수려한긴꼬리48
22.11.18

심해 물고기는 어떻게 수압을 이겨 내며 생존 할까요?

사람들은 2미터만 내려가도 귀가 아픈데 바다에서 생존하는 물

고기들은 최대 수심 몇 미터까지 생존하며 살아가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22.11.19

    심해로 내려갈 수록 매우 높은 수압을 받기 때문에,

    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바다 위에 사는 생물과 다른 구조를 갖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몸속에 빈 공간 대신 물을 채워넣어 외부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려고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

    그리고 고압에서 물질 전달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수심이 10m씩 내려갈 때마다 해수면에 비해서 평균 1기압씩 증가하는데요,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수심 10km 해구에 사는 생물은 1천기압의 압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높은 압력을 받는 상황임에도, 많은 수중생물들이 심해에 서식하는데요, 그 원리는 대부분의 심해 물고기들이 부레라는 공기주머니를 갖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레는 공기를 채워넣어 물고기가 뜰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심해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부레를 가질 경우에 자신의 몸에 기체가 담겨 외부 수압으로부터 찌그러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부레 대신에 외부의 바닷물과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자신의 몸 속에도 물을 채워넣어 외부와 내부가 동일한 기압인 상황을 만듭니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마리아나 해구인데요, 이곳에서도 많은 심해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깊이는 무려 11000m에 달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압을 버티기위해 심해수를 몸 속으로 흐르게하여 채내외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거나, 신체조직을 잘 변형될 수 있게 구성하여 압력을 잘 버틸 수 있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진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들은 압력에 견딜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심해어 역시 진화에 의해서 심해 환경에 잘 적응했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는 심해가 악조건 이지만 심해어한테는 살기 좋은 환경이고 오히려 인간이 사는 환경이 악조건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