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낮으면 수출이 잘되나요???
환율이 떨어지면 원하가치거 떨어지는거 겉은데 우리나라 수출이 그럼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어닌가요? 맞나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떨어진다는 건 원화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뜻인데, 이렇게 되면 해외 바이어 입장에선 한국 제품이 상대적으로 비싸게 느껴질 수 있어 수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환율이 오르면 원화가치가 낮아져 가격 경쟁력이 생기면서 수출기업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환율 하나만으로 수출이 좌우되진 않지만, 가격 민감한 품목을 중심으로 환율 영향이 체감되는 경우가 많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기본적으로 수출은 환율이 높으면 유리한 구조입니다. 무역대금 통화는 일반적으로 달러화로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1달러에 1000원이였을때보다 1500원인 경우라면 수출자가 환차익이 커지기 때문에 수출물품 단가를 인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수출업체가 원재료를 수입하는 경우에는 고환율인 경우 불리하다보니 환율이 높다고 해서 수출이 무조건 좋아진다고 볼수는 없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달러로 받는 돈은 같지만 원화 가치의 상승으로 인하여 수출기업의 수입은 줄어들게 됩니다. 반대로 수입은 가격이 낮아지게 되면서 기업의 생산 비용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기업의 비용은 줄어들게 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기업은 일반적으로 수출입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의 상승과 하락은 수출입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경제는 하나의 요소로만 변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환율의 변동에 따라 원화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은 향상되고 마찬가지로 원화가치가 올라가게되면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일반적으로 수출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글로벌 공급망 구조나 보호무역주의 등의 상황이 더 중요한 부분이 있고, 우리나라는 산업의 특성상 원자재 수입을 많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용즈악 등 다양한 요인때문에 환율에 대한 부분만 고려할 수는 없는 부분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