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7

일출과 일몰이 빛의 산란과 관련되는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평소 일출과 일몰을 보면서 궁금했던게 일출과 일몰의 색채는 대기 중의 어떤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런 물질들이 빛의 산란 현상을 어떻게 일으키고 일출과 일몰의 색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24.01.19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의 비스듬하게 대기를 통과할때 생기는 것으로 빛이 산란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비스듬히 위치하는 일출과 일몰에는 태양의 직사광선이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지나와야 하기때문에 더많은 산란을 일으키고, 남은 붉은색의 빛이 석양이나 일출의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의 색채는 대기 중의 공기 분자와 먼지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공기 분자는 빛의 파장과 상관없이 모든 빛을 산란시킵니다. 하지만 먼지는 짧은 파장의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태양이 지평선 아래에 있을 때는 태양빛이 대기를 더 많이 통과해야 합니다. 이때, 공기 분자가 빛의 모든 파장을 산란시켜 푸른색, 녹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의 모든 색깔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먼지가 짧은 파장의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키기 때문에, 푸른색과 녹색의 빛은 지평선 아래로 도달하기 전에 모두 산란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일출과 일몰 때는 주황색, 빨간색과 같은 긴 파장의 빛만 남게 되어, 붉은 빛의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대기 중의 공기 분자와 먼지가 빛의 산란 현상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일출과 일몰의 색채가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 시간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워지면서 빛의 경로가 지평선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때 빛은 대기 중의 분자와 작용하면서 산란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퍼지게 됩니다. 대기 중의 분자는 주로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보라색을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산란된 파란색과 보라색 빛은 주로 하늘을 향해 퍼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의 색채는 대기 중의 공기 분자, 먼지, 수증기 등의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빛의 산란 현상을 일으켜, 빛의 파장과 각도에 따라 빛의 일부가 흩어지게 됩니다.

    • 공기 분자는 파장이 짧은 푸른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일출과 일몰 시에는 지평선 근처의 빛이 공기 분자에 의해 산란되어 푸른 빛이 많이 흩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일출과 일몰의 색채가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먼지는 공기 분자보다 크기가 크므로, 파장이 긴 붉은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먼지가 많을 경우, 일출과 일몰의 색채가 붉은색으로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 수증기는 공기 분자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파장이 긴 붉은 빛과 파장이 짧은 푸른 빛을 모두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을 경우, 일출과 일몰의 색채가 붉은색과 푸른 빛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대기 중의 입자: 대기 중에는 먼지, 수증기, 오염물질 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빛의 파장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빛의 파장 중에서 더 짧은 파장인 파란색과 초록색은 더 강하게 산란됩니다. 이로 인해 일출과 일몰에서는 파란색과 초록색이 더 산란되어 분산되고, 붉은색과 주황색의 파장이 남아서 더 강조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대기 중의 산소와 오존: 대기 중의 산소와 오존은 일출과 일몰의 색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입니다. 특히 오존은 파란색과 초록색을 강하게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일출과 일몰에서는 붉은색과 주황색이 더 돋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시에 해는 지평선 근처에서 비추기 때문에 이 햇빛이 대기층을 길게 통과하기 때문에 쉽게 산란되는 파란색은 우리눈에 도달하지 못하고 붉은색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의 색채는 대기 중의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대기 중에는 수증기 먼지 오존 이산화탄소 등 다양한 물질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먼지와 수증기입니다.

    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로 태양광을 산란시켜 일출과 일몰의 색채를 만들어냅니다. 먼지는 빛을 산란시키는데 이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의 빛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먼지에 의해 산란되어 더 멀리까지 전달되어 일출과 일몰의 붉은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수증기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 입자로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수증기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산란되기 때문에 일출과 일몰의 색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수증기가 많은 습한 날씨에는 일출과 일몰의 색상이 더욱 다채롭게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가스로 태양광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대기 중의 온도를 올리고 대기의 밀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는 일출과 일몰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출과 일몰이 일어나는 시점에서는 직진하여 이동하는 태양빛이 더 많은 지구 대기권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와야 하므로,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 붉은색게열의 빛을 보여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