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늠름한멧새278
늠름한멧새27823.02.05

별과행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별과 행성이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지구는 행성인가요 별인가요?태양과달은 무엇인가요?우리가 관측가능한 구역을 은하라고 부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자체 중력에 의해 붕괴되는 가스와 먼지 구름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강렬한 열과 압력을 생성합니다. 이 열과 압력은 수소 원자를 헬륨으로 융합시켜 빛과 열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반면에 행성은 별이 형성되는 동안 별의 일부가 되지 않고 남은 물질로 형성됩니다.

    별은 행성보다 훨씬 크고 무겁습니다. 알려진 가장 큰 별은 태양 크기의 1,000배 이상일 수 있는 반면 알려진 가장 큰 행성은 목성보다 겨우 몇 배 더 큽니다.

    별은 핵융합을 통해 자체 에너지를 생성하지만 행성에는 자체 에너지원이 없습니다. 행성은 궤도를 도는 별에서 빛을 반사하지만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는 않습니다.

    별은 일반적으로 자체 행성계의 중심이며 행성은 주위를 공전하지만 행성은 다른 행성 주위를 공전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방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과 항성의 차이점은 지구와 태양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습니다. 지구는 행성이고 태양은 항성인데요. 첫 번째 차이점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느냐' 여부 입니다. 국토정중앙천문대의 공식 홈페이지를 보면 행성과 항성의 차이점이 설명돼 있습니다.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다면 '행성',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면 '항성'입니다. 행성도 빛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항성이 내뿜는 빛을 반사할 뿐입니다.


    항성이 스스로 빛을 내게 하는 원동력은 '핵융합'입니다. 핵융합은 어떤 원소가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합쳐지며 더 무거운 원소가 되는 겁니다. 이때 일정한 질량이 빛과 열에너지로 바뀌어 방출됩니다(핵융합 관련 기사 보기). 그래서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거죠.


    질량이 다르다


    행성과 항성은 '질량'도 다릅니다. 핵융합을 하려면 질량이 커 중력이 강한 천체가 유리합니다. 질량이 작아서 중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목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김은혁 선임연구원이 작성한 자료 '목성의 정체를 밝혀라 - NASA의 JUNO 미션'을 보면 목성은 태양처럼 수소, 헬륨 등의 가스로 구성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량이 충분치 않죠. 김은혁 선임연구원은 ‘만약 목 성의 질량이 현재 값의 약 70배 이상이었다면 태양계에는 태양이외에 또 하나의 항성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라고 설명합니다. 그렇지 못했기에 목성은 그냥 행성으로 남았죠.







  • 별과 행성의 차이는 딱히 없습니다.

    지구, 태양, 달 통틀어서 별이기도 하고 행성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달의 경우는 모성이 지구이므로 위성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5

    별은 항성이라고 합니다. 움직이지 않는 별 이란 뜻이며 항성은 스스로 빛을 냅니다. 태양이 항성에 속합니다.

    태양계에 속한 천체 즉 지구, 화성과 같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며 항성에 귀속되어 있는 천체를 행성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밤에 관측하는 대부분의 별은 항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