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23.03.26

조선시대에는 하천및 도시가 오물천지 였다는데 사실인가요?

조선시대에는 분뇨를 처리하는 시설이 없어 비가오면 하천으로 씻겨 내려가서 도로가 깨끗해젔지만 평상시는 오물로 가득찼고 분뇨가 가득했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늘날 도성 안 대부분의 집이 더럽고 지저분하다. 수레가 없어서 오물을 퍼 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 서울에서는 날마다 뜰이나 거리에 오줌을 버려서 우물물이 전부 짜다. 냇가 다리의 축대 주변에는 인분이 더덕더덕 말라붙어서 큰 장마가 아니면 씻겨지지 않는다.” 라는 글이 있듯 실제로 그러했다고 합니다.

    그때는 버리는것등 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는 분뇨를 처리하는 시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거리나 집안에서 발생하는 오물와 분뇨는 주로 하천이나 강 등 자연환경으로 배출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하천이나 강은 비가 내리면서 깨끗해지지만, 그 외의 때에는 오물로 가득 차게 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인구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오물과 분뇨가 도로나 거리를 가득 채우는 정도는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분뇨와 오물과 배출되는 주요 지역에서는 냄새와 질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공중화장소나 토기나 돌을 이용한 묘비 등이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민간에서는 농사에 이용하기 위해 분뇨를 모아서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방법은 깨끗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산업화와 함께 발생한 도시화와 함께 해결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수도와 폐기물 처리장 등의 시설이 건설되면서, 분뇨와 오물처리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도시와 하천이 오물천지였던 것은 사실입니다. 당시의 도시들은 현대와 달리 하수도 시설이나 쓰레기 처리 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생활폐기물이 집단으로 쌓여서 오물천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오물천지는 식수와 환경,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물천지에는 잡귀, 쥐, 바퀴벌레, 파리 등 다양한 해충들이 서식하고, 오물에서 나는 악취나 유해가스 등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오물천지가 확대되면서 많은 지역에서는 홍수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시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1447년에는 경복궁 근처에 청계천을 만들어서 오물천지를 개선하고, 15세기 중반에는 서울의 명동과 중동 일대에 첫 공공화장실이 설치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들은 전체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실패하였고, 대부분의 도시와 하천은 20세기 초까지도 계속해서 오물천지로 남아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지방 시골의 변 처리 방식은 비료로 써서 그나마 처리가 가능했지만 조선 후기 한양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한양의 거리에는 오물 투성이였으며 이 처리 방법에 골머리를 썩이게 되었습니다.

    도성 안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도록 하고 있었고, 변을 모아 비료로 사용하기 힘들어 백성들은 마당에 변을 늘어놓고 말린 뒤 인근 밭에 팔기도했습니다.

    박제가는 '도성의 물맛이 짠 이유는 함부로 내다 버리는 똥오줌 때문이다. 다리 밑을 보면 인분이 덕지덕지 달라붙어 있어 장마나 큰 비가 오지 않으면 씻겨 내려가지도 않는다' 라고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조 때 청계천을 준설하게 됩니다. 강물이 쉽게 범람하여 서민주거지가 피해를 당하고 오폐수가 넘처나는 위생 문제도 해결하려한 영조의 애민정책의 하나입니다. 청계천 바닥의 모레를 파내어 강물이 깊게 흐르고 범람하지 않게 한 것입니다. 하수시설이나 상수시설이 없어 물에 생활쓰레기나 분뇨 등이 쉽게 처리될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모여사는 곳 특히 서민들의 밀집주거지는 오폐수와 분뇨 등으로 비위생적이고 악취가 났던 모양입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그것은 비단 조선만의 일이 아니었습니다. 프랑스나 유럽의 나라들도 관계수로가 발전하기 전까지 길에서 악취가 났고 그래서 유럽에서 향수가 발전한 것입니다. 조선도 수로 및 분노처리시설이 정비되기 전까지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