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빠른베짱이98
빠른베짱이9823.08.06

물은 어느정도 양이 되면서 부터 고인물(썩는물)이 아니게 되나요

물은 웅덩이 비가와서 고이거나 하는 적은양의 물은 시간이 지나면 썩기 시작하는데 호수에 물은 썩지 않고 생명체가 번식하는데도 지장이 없는데요. 고인물은 어느정도의 양의 물부터 썩지않고 신선하게 유지가 되는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일한 미생물 양에서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썩는 속도가 느려지곘지만 물이 썩지 않기 위해서는 우선 물에 유동이 있어야 합니다.

    물은 이동하면서 물 내부에 있는 미생물이나 수초 등을 정화하게 되는데 이 유입되는 외부 요인의 양이 물의 정화능력치를 초과할 경우 썩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는 웅덩이나 적은 양의 물보다 훨씬 크며, 물이 오랫동안 체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로 인해 호수의 물은 자연적인 섭취와 이동이 가능하며, 산소와 영양분이 균형 있게 공급됩니다 호수의 물은 자연적인 여건에 의해 보호됩니다. 호수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정지되는 곳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오염물질이 적게 유입될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호수에는 식물, 조류, 미생물 등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하여 생태계가 형성되어 물의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고여 있는 것은 양의 차이를 떠나서 흐름이 없기에 썩는 것입니다. 상부든 하부든 물의 흐름이 있다면 썩지 않습니다.


  • 물이 오랜 기간 동안 썩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되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물의 생태학적 특성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호수의 경우, 물의 부피가 크고 물이 계속적으로 순환하며 천천히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 더 오랜 기간 동안 물이 썩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물이 썩는 것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활동과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물에는 미생물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물의 탁함이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호수와 같이 큰 물체에서는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하고 새로운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동과 화학적 반응이 상쇄되거나 물이 흐름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화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또한 호수의 경우 미생물 뿐만 아니라 수초, 물고기 등의 생명체들이 생태계를 형성하여 물의 질을 유지하고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생태적 상호작용은 호수의 물이 오랜 기간 동안 썩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인 물의 양이 물이 오랜 기간 동안 썩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되는데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정해진 기준이 없으며, 환경 조건과 물체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이 크고 순환되는 체계에 속하며 생태학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물이 오랜 기간 동안 썩지 않고 유지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인물은 계속해서 썩습니다.

    그런데 물이 고였다고 해서 섞는게 아니라

    밖에 오픈이 되고 그 고인물에 먹을만한게 살아야지 미생물이 번식하면서 썩은물이 됩니다.

    우리가 생수가 아무리 둔다고 해서 안 썩잔아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인물이 썩는 이유는 그 물의 사는 각종 수초나 미생물, 플랑크톤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정화가 되지 않으면 썩기 시작하눈 것입니다. 그래서 호수가 고여있어도 구 안에 수초와 미생물, 플랑크톤이 지속적으로 정화해서 외부에서 자정능력을 초과하는 물질이 들어오면 호수도 썩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