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숙한거위73
성숙한거위7323.09.02

도로에 거울 현상? 여름에 아지랑이 피어오르면서 도로가 거울처럼 변하는 이유가뭔가요?

여름에 시골가거나 여행갈때 고속도로나 아스팔트보면

도로에 거울 현상? 여름에 아지랑이 피어오르면서 도로가 거울처럼 변하는 현상이 있잖아요~

그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면이 뜨겁게 달구어진 날, 먼 풍경이 지면 근처에서 불꽃같이 아른거리며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봄철에 날씨가 맑은 날이나 여름철 햇빛이 강하게 내리 쬘 때, 도로·모래사장·초원 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고온으로 가열된 지면에 닿은 공기는 뜨거워지면서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지고, 부력을 받아 위로 올라간다. 공기의 온도에 따라 빛의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지면에서 급격히 대류하는 공기덩어리 사이를 통과하는 빛은 이리저리 굴절한다. 그렇기 때문에 먼 풍경이 불꽃처럼 위로 아른거리는 모습을 보게 된다. 따라서 지면 근처에서 뿐 아니라 가열된 물체 위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신기루(蜃氣樓) 또는 공중누각(空中樓閣)은 바다 위나 사막에서 빛이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굴절하여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엉뚱한 곳에 물이 있는 것처럼 보이거나, 수평선 너머의 불빛이 보이기도 한다.


  • 안녕하세요. 함근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밀도가 달라집니다. 한낮의 사막에서는 지면의 온도가 위쪽의 온도보다 높아요. 지면으로 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이렇게 온도 차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에서 빛이 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 눈은 빛이 직진한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원래의 물체 아래에 상하좌우가 뒤집힌 상을 보게 됩니다. 마치 거울에 비친 것처럼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굴절이 아니라 반사로 땅거울 현상을 설명하기도 합니다. 빛이 특정한 각도로 입사되었을 때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정반사가 일어난다는 이론입니다.


    하늘이나 다른 물체가 땅에 비쳐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마치 물이 있는 것처럼 착각합니다. 그러나 신기루는 착시 와는 전혀 다른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로 표면의 특성과 평탄도가 빛을 반사하는 데 영향을 줍니다. 도로 표면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평탄해야 하지만, 오래된 도로나 표면 손상이 있는 도로는 거울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부드럽고 평탄한 도로 표면은 빛을 더 잘 반사하며, 이는 거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 도로에 거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더운 여름 날씨와 도로 표면의 열 전달에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는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입니다:

    1. 고온: 여름철에는 햇빛이 강하게 비치며 대기 온도가 높습니다. 이로 인해 도로 표면은 직사광선을 흡수하고 열을 누적합니다. 도로 표면의 온도는 가열되어 매우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열 팽창: 도로 표면은 높은 온도에서 급격하게 팽창합니다. 이로 인해 도로 표면의 비틀림과 팽창이 발생합니다.

    3. 대류 현상: 뜨거운 공기가 도로 표면에서 상승하면서 저온 상공으로 올라갑니다. 이로 인해 대류 현상이 발생하고 도로 표면에서 열이 상승한 공기와 접촉하게 됩니다.

    4. 저온 상공과의 접촉: 뜨거운 도로 표면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상공에서 냉각됩니다. 이로 인해 물방울이 형성되고, 이 물방울은 도로 표면과의 상호작용으로 거울처럼 반사됩니다.

    결과적으로 도로 표면이 거울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고, 이 현상은 "거울 현상" 또는 "도로의 열적 반사"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더운 여름 날씨와 평평한 도로 표면에서 발생하며, 운전자들에게 시야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전을 위해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는 운전 속도를 줄이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로가 뜨거워지면 도로 바로위의 공기들도 함께 달궈지며 상승기류가 만들어지고, 아스팔트 위에는 공기가 적어집니다.

    이로힌해 빛의 굴절이 발생하고, 하늘의 모습이 아스팔트 아래 보이게 되는데, 이는 사막지대에서 오아시스가 보이는듯한 신기루와 거의 동일한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로에 거울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로 열팽창에 기인합니다. 여름철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면서 도로 표면은 높은 온도로 가열됩니다. 이 가열로 인해 도로 표면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는 열팽창을 겪게 됩니다.

    열팽창은 도로 표면의 물체를 팽창시키고, 팽창된 부분은 평평한 표면이 아니라 부은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도로 표면에 있는 미세한 주름이나 거친 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거울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물체의 굴곡이나 불규칙한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 때문에 발생합니다.

    또한, 아지랑이가 있는 도로 표면은 주로 피치나 타르로 처리되어 있어 매끄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규칙한 표면은 빛이 반사되는 각도를 달리하여 거울 현상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

    거울 현상은 운전자에게 시야를 방해하고 광학적으로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운전 중에는 거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도로에서는 속도를 조절하고, 적절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아지랑이 피어오르면서 도로가 거울처럼 변하는 현상은 지표면과 대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합니다. 여름에는 지표면이 태양열을 받아 매우 뜨거워지지만, 대기는 지표면보다 훨씬 차갑습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대기로 열이 전달되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아지랑이가 생깁니다. 아지랑이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와 결합하여 거울처럼 반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지랑이가 많이 피어오른 날에는 도로가 거울처럼 반사되어 보이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2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아지랑이처럼 보이는 현상은 대기의 굴절(refraction) 때문입니다. 이 현상은 미라지(mirage)라고도 합니다.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공기 밀도 차이가 광선의 경로를 굽히는 현상으로 일어납니다. 땅이나 도로가 태양에 의해 가열되면, 그 가까운 곳의 공기는 주변보다 더 따뜻해집니다.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서 빛을 다른 방향으로 굴절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뇌는 빛이 직선으로 이동한다고 인식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 광선이 아래쪽으로 꺾여서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 때문에, 멀리 있는 도로나 사막 위에서 마치 물 웅덩이처럼 반사된 하늘이나 객체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보이는 '아지랑이' 같은 현상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의 온도 변화와 관련된 시각적인 착시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로에 마치 물 웅덩이가 있는듯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태양의 뜨거운열기로 인해 빛이 굴절되어 하늘의 모습이 땅에 있는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하늘의 푸르고 투명한색이 아스팔트위에 맺히면서 마치 거울처럼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