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들은 이기적이라는데 맞는말인가요?
흔히 다들 외동들은 이기적이고 자기밖에 모른다고 하던데 맞는말인가요?
외동들이 모두가 이기적이지는 않지만
실제로 이기적인 사람들의 대다수를 보면 외동들이 많습니다.
과학적으로 밝혀진게 있는지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과학적으로 밝혀지기 보다는 통계적으로 나온 수치로 보여집니다. - 외동인데도 외동같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 보통 외동인 경우 부모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 부모 또한 자식이 하나이다 보니 더 애지중지 키우는 경향으로 인해 - 그런 경우도 있는데 통계일 뿐입니다. 사람들마다 성향의 차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일종의 사회적으로 사람들이 만들어 낸 편견 중 하나입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오로지 가정에서만 아이가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바깥으로 나가서 사회의 생활을 하는 경험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외동 알 외동딸이라고 해서 아이가 서 사회성이 결여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타고난 기질이 다르기에 이기적인 사람도 있고 배려심이 깊은 사람도 있습니다 외동이라고 버릇이 없거나 이기적 일 거라는 건 편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외동들은 가정에서 사랑을 독차지하고 뭐든지 다 들어줬기 때문에 부족함 없이 - 자랐지요 - 커서도 주변에서 그렇게 해주는줄 알았는데 현실은 그게 아니니 혼동이 생길겁니다. - 잘 이겨내면 다른사람들과 융화가 되는 것이고 아니면 고립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형제의 유무가 개인의 사회성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아이의 성격은 외동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부모의 양육방식, 유전 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만 - 후천적인 영향이 큽니다 외동의 경우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 무언가를 형제들과 나눠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다소 그렇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연구팀이 100개 학교의 1만 3천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내용이 있습니다. 외동들의 친구 관계가 형제 자매를 둔 학생만큼 원만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 이후 사회성을 개발할 수 많은 기회를 접할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비트 체허 교수라는 분이 이야길 하셨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케바케인것 같아요 - 외동을 대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다를 수 도 있어요 - 예를 들어 한명의 외동에게 - '어쩐지 넌 외동 같더라'라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 '너가 외동일 줄은 꿈에도 몰랐는데'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 외동들은 가정교육에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아요 - 일단 기본적으로 항상 남 보다는 나 부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요 - 외동들은 항상 혼자서 자라왔기 때문에 부족함도 없고 어려움도 없이 자랐을텐데 친구들 및 다른 사람과 지내면서 외동티를 극복해야 할텐데 그것을 배우지 못하면 외동 티가 많이 나겠지요!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 공동체 사회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배우는 것이 공존하는 단체 생활입니다. - 함께 살아가는 방식과 방법을 터득하는 것인데요. - 형제가 없는 외동들은 아무래도 자기 자신 혼자라는 개념적인 것이 강한 탓에 - 다소 이기적이라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그럼에도, 가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아이를 양육하느냐에 따라 - 충분히 달라질 수 있기에 잘 지도 양육하시면 큰 무리 없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