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1

고려 말 충신이었던 정몽주는 어떻게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고려시대 말에 고려를 지키기 위하여 충신의 역할을 다했던 정몽주는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하였는데 어떤 이유로 죽임을 당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 같은 경우에는 온건개혁파로서 고려말 정치권의 빅3라고 불리는고려의 최영,이성계,정몽주 이중에 한 사람입니다.

    정몽주는 고려를 완전히 뜯어 고칠려고 했지 나라 자체를 갈아 없을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성계,이방원이 주장하는 신 국가 건설론을 지지 하지 않았죠, 그래서 결국 이성계 정몽주는 대립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방원은 조선 3대국왕이 되는 사람입니다.

    세종대왕의 아버지이며, 왕권강화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1차왕자의 난에도 살아 남고 2차 왕자의 난에도 살아 남아 권력을 차지한 야심에 참 군주로, 조선 초 조선을 강력하게 만드는 왕 중에 하나입니다.

    청년시절을 아버지와 함께 조선 건국에 앞장선 일등 공신으로서, 정몽주와의 의견이 달라 결국 정몽주를 초청하여 연회를 배풀었으나 정몽주는 결국 회유의 손을 놓치고 죽교를 건너던중 이방원이 보낸 자객에게 둔기류로 죽음을 당하게됩니다.


  • 승윤 축복
    승윤 축복23.04.21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정몽주, 정도전 등을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몽주는 급진개혁파와는 달리 고려라는 틀 아래에서 개혁을 하자고 주장합니다. 신하가 왕을 배신 할 수 없다라는

    유교적인 관념을 가지고 있던 바른 유학자였지요. 그래서 이성계도 망설입니다. 이성계는 정도전, 정몽주와 같이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고 꿈을 실현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방원도 여러번 정몽주를 설득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이성계가

    망설이고 이 틈을 이용하여 오히려 정몽주가 이성계를 죽이고 급진개혁파를 몰아내려고 작전을 세웁니다. 이방원은 이 위기를

    정몽주를 살해하는 것만이 해결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살해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고려를 절대 배신 하지 않으려고 하는 충신 이였습니다. 이성계와 정도전등이이러한 정몽주의 고려 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존경 하면서도 어떻 하던 간에 그를 작들 편으로 끌어 드리려 했으나 실패 하자 이방원등이 차라리 같은 편이 도지 못하면 죽이는 것이 났다고 생각해서 결국 그를 선죽교에서 사살 하고 맙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화도 회군에 성공해 실권을 장악하고 그 이후에 정도전이 등장하면서 이성계와 정도전의 새로운 세상에 의기투합하게 되고 이때 이방원은 크게 드러나는 인물은 아니였으나 이성계가 말에서 떨어졌던 때 정몽주가 정도전 등을 유배를 보내며 정몽주는 새로운 나라 보다 고려를 선택했고 이방원은 정몽주를 죽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정몽주를 이성계의 편으로 끌어들이려고 했지만, 단심가를 통해 사실상 이성계와 함께 할 뜻이 없음을 이방원이 알게 되었고, 수하를 시켜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죽이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 충신 중 3은이 있습니다. 목은 이색 야은 길재 포은 정몽주입니다. 정몽주는 고려말 충신으로 불사이군을 주장하면서 조선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이방원은 정몽주를 찾아가 회유하려고 하여가를 불렀는데 정몽주는 단심가로 답하여 같이 갈 수 없다고 판단한 이방원은 앞으로 걸림돌이 될거라고 생각하여 선죽교에서 쇠망치로 죽이게 됩니다.


  •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는 고려의 최고 실세가 되자, 정도전, 조준 등

    이성계 측 신진사대부 혁명세력이 토지개혁 군제개혁 사병 혁파 등 개혁을 단행합니다.

    사실 위화도 회군이 성공했을 때 이성계는 자기가 바로 왕이 될 수 있었지만,

    여론과 민심의 동향에 민감한 성격 때문에 밀고 나가지 못했습니다.

    그러는 동안 어린 창왕이 물러나고 공양왕이 즉위하면서

    정몽주가 문하시중(국무총리급)이 됩니다.

    그리고 공양왕과 정몽주는 조금씩 혁명 세력에 반기를 들기 시작합니다.

    이성계를 따라 여러 전쟁에 참여하여 이성계 성격을 잘 알고 있던

    정몽주는 이성계가 역공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정몽주는 신하의 잘못을 임금에게 고발하는 탄핵상소문 작성을 담당하는

    대간을 사주하여 정도전을 비롯한 신진사대부 혁명세력이 고려를 무너뜨리려는

    반역의 역성혁명을 기도하고 있다면서 정도전은 죽이고 조준 등

    나머지 일당은 엄히 국문해야 한다는 상소문을 공양왕에게 제출토록 합니다.

    이 상소문을 받은 공양왕이 탄핵 결정을 머뭇거리는 사이에 정몽주는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사주한 자객에게 살해를 당합니다.

    한 순간의 판단이 역사를 바꿉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역성혁명파의 조선건국에 반대하다가 1392년(공양왕 4년) 4월 이성계의 문병차 돌아가던 길에 개경 선죽교에서 이방원 일파에 의해 암살되었다.

    -출처: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 신진사대부는 온건과 급진 개혁파로 나뉩닌다.

    온건은 고려 왕조 유지하는 입장으로 정몽주, 이색 등이 유명하며 토지 개혁에 반대 합니다.

    반면에 급진 개혁파는 역성 혁명 주장하고 정도전, 조준 등이 있도 전면적 토지 개혁인 과전법도 주장합니다.

    신흥 무인세력인 이방원 입장에서는 역성 혁명 걸림돌이므로 제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