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3세살 정도 되면 어느정도수준의 대화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단순한 대화나 의사소통정도 가능한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만3세살 정도 되면 어느정도수준의 대화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단순한 대화나 의사소통정도 가능한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답변좀 부탁 드려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 3세 아동은 짧은 문장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감정이나 필요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 3세 어린이는 간단한 문장으로 대화하며,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감정 표현과 질문도 할 수 있지만, 복잡한 대화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만3세이면 우린나이로 5살이고 유아기라고 하는데요.
유아기는 어른들과 거의 왠만한 의사소통이 가능한대요. 말을 알아듣고 행동하면서 왠만한건 다 하지만 아직 글자에 관심은 있지만 글자를 알지 못하기 때문 아주 깊게 초등학생 수준처럼은 하는 대화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만 3세 아동은 언어 발달에 있엇 중요한 시기를 지나고있으며 이 시기의 아이들은 대체로 간단한 대화가 가능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의사소통할 수 있는 수준에 이릅니다 대체로 자기소개, 간단한 질문에 답하기,일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건뭐야"라는질문을 던지거나 "나는 배고파"와 같은 간단한 요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해력도 높아져서 간단한 명령이나 요청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언어의 폭은 개인의 발달 정도에 따라다르지만 대부분의 3세 아동은 약간의 문법오류나 발음문제는 있을 수 있지만
주어와 동사를 포함한 간단한 문장을 사용하여 대화를 나누는 능력이 생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
요즘 우리 아이들의 언어 수준은
일반적으로 학자들이 말한 언어 수준을
이미 뛰어 넘은 것 같습니다.
만 2세가 지나면 어른들이 하는
모든 단어를 따라하게 되고
만 3세가 되면 문장과 문장 연결 뿐 아니라
쉬운 문법의 사용 능력까지 가능합니다.
물론 언어는 두뇌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
태교부터 출산 후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성장하면서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책과 문화, 놀이 컨텐츠 등을 통해 사회성을 확대하는 언어능력이 길러지게 됩니다.
우리의 생각 보다 더 빠른 습득을 하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의 언어 수준을 눈높이 대화를 통해서
재미 있고 즐거운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많이 질문하고 많이 놀아 주고
많은 책을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한 가지 책을 5~6번 읽어 달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미루지 마시고 인내를 가지고 읽어 주면서
책 속의 이야기도 끌어내시면 아주 즐거운 대화가 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네, 만 3세라면 단순한 대화와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알고 있는 어휘나 표현이 제한적이고, 긴 문장을 구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짧은 문장을 위주로 간단한 욕구, 경험과 관련된 대화가 가능합니다.
1명 평가만3세 아이의 어휘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질문자님이 말하는 만3세가 세돌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세돌이면 4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4세에서 5세 동안에는 단순한 문장에서 벗어나
문장과 문장이 연결된 표현을 사용합니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어미와 접속사를 사용하게 됩니다.
5세 무렵의 아동은 성인 언어체계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어느정도 습득한 상태라고 보면 됩니다.
아동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① 지능, 신체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 성별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
② 가정의 사회 경제적 위치, 가정의 문화, 형제·자매의 유무 등과 같은 가정 환경적 요인,
③ 교사, 학급의 크기, 교수 학습 방법 등과 같은 교육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3세 정도 대면 어느정도 대화가되지만 유의미한대화가 아니라 간단한 묻고 대답하기가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