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6

화석은 어떻게 발굴하는지 발굴과정이 궁금해요.

고고학자들이 화석을 어떤 과정으로 발굴을 하는지요. 원상태 그대로 복원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궁금해요. 땅속에 오랫동안 있었던 화석을 발굴하는 모습을 예전에 뉴스에서 잠깐 봤었는데 붓같은걸 가지고도 하던데요. 화석의 발굴과정을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작은말벌290
    작은말벌29023.05.26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발굴 작업은 손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큰 화석이나 흙으로 덮인 지층을 처리해야 할 경우 소형 도구나 고속 드릴, 밀봉된 특수 가스 노즐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발굴 작업은 매우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며, 화석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고학자들이 화석을 발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지 조사: 고고학자들은 화석이 발견될 수 있는 지역을 조사합니다. 이를 위해 지질 지도, 지형 조사, 지반 조사 등을 실시하여 화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습니다.

    2. 발굴: 발굴 작업은 철공, 파쇄기, 소형 도구 등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토양을 제거하면서 화석을 찾아냅니다. 작은 도구들은 세밀한 작업에 사용되며, 화석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입니다.

    3. 문서화: 발굴된 화석은 위치, 방향, 깊이 등의 정보와 함께 정확히 문서화됩니다. 사진, 도면, 설명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정보는 후속 연구와 복원 작업에 도움이 됩니다.

    4. 수집 및 보관: 발굴된 화석은 조심스럽게 수집되어 보존을 위해 알맞은 환경 조건으로 이송됩니다. 화석이 파편으로 발견된 경우에도 조각을 모두 수집하여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보존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석을 발견하고 암석에서 화석을 발굴하기 전에 먼저 부위별로 크기를 측정하고 사진을 찍어 둡니다. 이렇게 해야 동물이 어떻게 죽었는지, 어떻게 화석이 되었는지를 알고 화석을 복원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박물관이나 학회 전시장같은 곳에 가면 일반적인 발굴 과정이 기록되어 있긴한데요..

    통상적인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을 드리면...

    (1단계) 발견 상황 기록하기
    화석을 발견하고 암석에서 화석을 발굴하기 전에 먼저 부위별로 크기를 측정하고 사진을 찍어 둡니다. 이렇게 해야 동물이 어떻게 죽었는지, 어떻게 화석이 되었는지를 알고 화석을 복원할 수 있어요. 또 화석이 발견된 위치도 기록하여 둡니다.


    (2단계) 화석 채집하기
    화석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망치와 끌, 정, 클리노미터(지층의 경사를 측정하는 도구), 소형 확대경(작은 화석을 관찰하기 위한 도구) 등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공룡처럼 큰 화석은 크게 떼어 낸 뒤 석고로 덮어 운반하고, 크기가 작은 화석은 부서지지 않도록 화장지나 종이로 감싸 가방이나 상자에 넣어 운반하기도 합니다.


    (3단계) 화석 분리하기
    실험실로 화석을 옮겨 온 뒤에는 화석을 둘러싸고 있는 암석을 제거합니다. 먼저 망치나 정, 다이아몬드 톱 등으로 암석을 없애고, 그래도 남아 있는 암석은 녹이거나 좁쌀만 한 암석을 조금씩 떼어 내는 공기 파쇄기를 사용하여 분리합니다. 이때 잘못하여 화석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단계) 화석 복원하기
    암석에서 화석을 분리하여 낸 다음에는 원래 생물의 모양대로 화석 조각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공룡 화석이라면 먼저 머리뼈와 이빨을 맞추며, 나머지 뼈는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 기록한 뒤에 모양에 맞게 조합 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뼈에 맞는 근육 모형을 입히면 살아 있었을 때의 크기와 형태를 알 수 있게 된답니다.
    화석은 우리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까요? 우리는 화석을 통하여 지질 시대의 자연환경을 알 수 있어요.

    만약 산호가 발견되었다면 산호는 수심이 얕으며 수온이 25℃ 이상인 바다에서 살기 때문에 이곳이 옛날에는 수심이 얕고 따뜻한

    바다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화석을 통하여 지층의 순서를 알 수 있어요. 지구의 운동 때문에 지층이 뒤틀리고 뒤섞인 경우, 화석을 연구하면 어떤 지층이 먼저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석유나 석탄과 같은 에너지 자원은 옛날에 죽은 생물이 쌓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화석을

    통하여 지하자원이 묻혀 있는 장소를 알아 낼 수도 수 있답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화석은 1. 찾고, 2. 지층을 파내고, 3. 조심스레 화석을 꺼내고, 4. 화석을 보관 및 보존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 중 찾는 과정이 사실 제일 어렵고, 화석은 깨지기 쉬우므로 질문자님 말씀처럼 세심한 작업을 거쳐 꺼내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 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석의 발굴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탐사: 먼저, 화석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발굴을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지질학적인 연구나 지도자료 등을 활용하여 탐사 지역을 선정합니다.


    2. 표면 발굴: 지면에 노출된 화석이 있을 경우, 툴로 화석을 주변 바위와 분리하여 발굴합니다.


    3. 굴착: 화석이 매우 깊은 지하에 있을 경우, 지면을 파내어 굴착장을 만들고 화석을 발굴합니다. 이때, 굴착장의 크기와 깊이는 화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4. 발굴: 화석이 있는 지역에서 발굴을 시작합니다. 이때, 공기압 및 온도 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보호장치가 필요합니다.


    5. 분리: 화석을 발굴한 후에는, 분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때, 화석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화석을 분리한 후에는, 청소와 보존 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듭니다.


    화석 발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입니다. 또한, 발굴 지역이나 화석의 종류에 따라 발굴 방법 및 보존 방법 등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화석 발굴 과정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팸 해머 (Fossil Hammer) - 바위를 깨서 화석을 발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철사 브러시 (Wire Brush) - 파편화 된 바위에서 작은 화석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3. 점토 나이프 (Clay Knife) - 미세한 작업을 수행하고 화석을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4. 에어 펌프 (Air Scribe) - 미세한 작업을 수행하고 화석을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5. 철사 툴 (Picks and Chisels) - 강한 바위에서 화석을 발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발굴 지역이나 발굴하려는 화석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본디 화석은 급격히 묻히고, 썩지 않고, 지각변동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이 따르게 됩니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그 생물 자체는 사라져 버렸지만

    생물의 흔적이 주변 퇴적층에 남아있으면 그것은 몰드 화석이 됩니다.

    그런데 몰드 화석은 관찰용으로 좋지 못하므로 석고를 부어 입체형으로 다시 만들어내는 겁니다~


    그리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화석은 캐스트 화석이라고 합니다.

    캐스트는 몰드 상태의 화석에서 지하 광물이 채워져서 그 모양이 자연적으로 본떠져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질문자분께서 말씀하신 석고 작업은 몰드 화석을 인공적으로 캐스트 화석으로 만드는

    작업이라하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