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조선의 기득권 사대부들이 쓴 시조는 어떤 이념이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시조를 보면 조선의 주류사상이 보인다고 하잖아요~ 조선시대 기득권인 사대부들이 쓴 시조는 어떤 이념이 깃들여 있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시조에는 유교적 이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사대부들은 유교의 도덕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을 중시했으며 이러한 이념은 그들의 시조에 자주 드러났습니다. 임금에 대한 충성은 사대부들이 중시한 덕목 중 하나였습니다. 많은 시조에서 임금에 대한 충성과 나라를 위해 희생정신이 강조되었습니다. 인간의 도리와 도덕적 가치 즉 인과 의를 중시하는 내용도 자주 등장합니다. 사람 사이의 의리와 도덕적 판단을 중시하는 사상은 시조에서 도덕적 교훈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사대부들은 자연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했습니다. 시조에서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이상적 삶을 표현하거나 자연을 통해 인생의 이치를 깨닫는 모습이 자주 나타납니다. 이는 유교적 가치와 도가 사상이 결합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시조에는 3가지 방향성이 있습니다.

    1. 지조와 충절

    2. 자연

    이것은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받아들인 조선 건국의 주축이었던 신진사대부들이 성리학적 통치이념을 신념으로 삼고 있다보니 그에 따른 현상이었습니다.

    조선중기에서 후기로 가면서 무신, 기생, 전문적인 노래꾼들도 시조를 지어 불렀고,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사설시조의 장르도 나와 평민들까지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기득권이니 대부분은 현재의 사상을 찬양하는 내용입니다.

    충성, 효, 임전무퇴 등등

    하지만 어디나 튀는 이단자가 있기 마련이니

    사회를 고발하는 내용도 몇몇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사대부들의 시조는 심성 수양과 백성의 교화라는 두 가지 주제 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는 사대부들이 재도지기(載道之器), 즉 문학을 도(道)를 싣는 수단으로 보는 관념에서 비롯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