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바버22
바버2223.02.22

그림자가 생길때 왜 검은색인건가요?

그림자가 생길때 왜 검은색인건가요?

그림자가 해가 비춰서 생기는건지는 알고 있는데 자세한 원리와 왜 색이 검은색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그림자가 생기는 것은 빛이 어떤 물체를 가로막으면 그 물체 뒤쪽에 빛이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검은색 그림자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어 빛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빛은 물체를 통과하거나 반사되기 때문에 물체가 있는 곳에는 빛이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빛이 가로막히면 빛이 도달하지 못하고 물체 뒤쪽에는 빛이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때 물체가 어둡거나 검은색이면 그림자도 어둡거나 검은색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그림자가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물체가 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림자가 항상 검은색이 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 환경의 조명 상태와 빛의 광원 등에 따라 그림자의 색상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림자는 빛이 물체에 가려져 비춰지지 않은 부분입니다. 그래서 빛이 반사되지않아 색상이 나타니지 않는 검은색으로 보이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우리 몸에 쬐면 모두 흡수가 됩니다. 다만 통과하지 않은 빛은 그대로 투사가 되기에 그림자는 검게 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림자는 물체가 빛을 가로막아서 생기는데 빛이 가는 길목을 물체가 막고 있으면 빛은 더는 나아가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물체의 뒤편에는 빛이 닿지 않는 곳이 생기는데, 그게 그림자인 입니다.

    즉 그림자가 검은색인 이유는 우리가 볼수 있는 대부분의 가시광선이 물체에 막혀 빛이 통과 할수 없어서 생기게 되는 것 입니다. 어둠이 검은색이듯 그림자는 어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성질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일직선으로 나아가기 땨문에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물체와 흡수됩니다.

    이렇게 빛이 흡수된 부분은 반사되어 우리 눈에 도달하는 빛이 없어 검은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림자 역시 반사되는 빛이 매우 적기 때문에 검은 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림자는 물체가 빛을 가리는 영역이므로 빛이 막힌 영역에는 그림자가 생깁니다. 그러면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그림자의 가장 어두운 부분은 빛이 전혀 도달하지 않는 부분이며, 이 부분에서는 빛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림자의 경우에는 빛이 가려졌기 때문에

    반사할 빛이 없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는 색은 반사되는 빛을 봄)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세상에 검정색은 없습니다.

    어떤 한 빛도 없는 상태를 "검정색"이라 보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그림자란 빛이 비춰지지 않는 외각지대라서

    검정색을 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색을 보는것은 물체가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되는 색을 보는 것입니다. 근데 그림자는 빛이 물체를 통과하지 못해서 발생되는 것이기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주위는 반사해서 볼수있는 색이 있고 그림자는 물체를 통과하지 못해서 반사되거나 하는게 없기 떄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림자는 빛이 물체에 가려지면서 생기는 영역으로, 색은 그림자가 빛이 차단되어 아예 도달하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빛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빛은 직진하며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물체에 닿기 전에 빛 자체가 그림자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그림자는 물체가 빛을 차단하여 빛이 그림자 영역으로 도달하지 못하는 곳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그림자가 검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이 차단되어 아예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검은색은 빛이 전혀 없는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검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완전한 검은색이 아니라, 주변에 있는 빛이 반사되어 조금씩 밝게 보이기도 합니다.


  • 모든 그림자는 사람이나 나무에 가려서 생긴 것처럼 항상 검은색일까? 그렇지 않아.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무지개 색깔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어. 우리가 물체를 보는 것은 사실 무지개 색깔의 빛 때문이야. 이것을 가시광선이라고 해.
    만약 물체 중에 빛깔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물체가 있다고 생각해 봐. 예를 들면 셀로판지 같은 것이야. 셀로판지는 자신이 가지는 색깔의 빛만 통과시켜. 빨간색 셀로판지는 빨간색 빛만, 파란색 셀로판지는 파란색 빛만 통과시키지. 그렇기 때문에 빨간색 셀로판지에 빛을 비추면 빨간색 그림자가 생겨. 세상에는 색깔 그림자도 있다는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