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23.04.06

연체생물중에는 잘려도 사는 생물들이 있던데 어떻게 살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예전 과학시간때 아메바였나 이런 연체생물을 반으로 잘라도 분할되어 잘린 부분이 재생되고 살던데 어떻게 재생이 되어 살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23.04.06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예, 아마 과학시간에 실험한 것은 아메바난 플라나리아 같습니다. 아메바와 플라나리아는 각각 단세포 생물체와 다세포 생물체로서, 분할 후 잘린 부분이 재생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생물체들은 세포분열에 의해 자신의 몸을 자를 수 있습니다.

    세포분열은 세포의 유전체(염색체)가 복제되고, 그 후에 두 개의 동일한 염색체 집합을 가지는 두 개의 딸세포로 분리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포 내부의 구조물과 세포막은 새로운 세포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메바와 플라나리아 등의 생물체는 세포분열을 통해 자신의 몸을 두 개의 조각으로 나눕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할된 부분은 새로운 세포막과 구조물이 형성되어, 완전한 생물체로 재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생물체의 세포분열 능력과 세포 내부의 구조물과 세포막이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나리아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플라나리아는 Nb2라는 세포의 영향으로 재생되는 것이며 이것은 일종의 줄기세포입니다.

    평상시에는 몸전체에 퍼져있다가 몸이 잘리면 테트라스파닌이라는 단백질의 일종을 다량으로 만들어내는 유전자활성패턴을 띄며 재생을 일으키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메바와 같은 일부 연체동물들은 분열 분생(fission)이라는 생식 방식으로 자신을 번식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세포 분열이라고도 합니다.

    분열 분생이 발생하는 원리는 간단합니다. 먼저, 생물체는 둘로 분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포 분열이 시작될 때, 생물체의 세포질은 새로운 세포막을 형성하고, 세포 내부 구조를 복제하여 새로운 세포를 생성합니다.

    즉, 생물체가 분열하면 그 구조를 형성하는 모든 세포들이 동시에 분열하여 각각 자신의 모습을 재생성합니다. 이런식으로 생물체의 두 부분이 각각 자라나 새로운 생물체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