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제태크를 할때 기본 얼마 손해를 보고 시작하나요?
금 재테크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금을 사면(현물) 살때 가격과 팔때 가격이 다르므로 살때 일부 손해를 보고 시작하잖아요. 앞으로 오를걸 보고 사는것이구요.
그런걸 따졌을때 만약 내가 금 제테크를 하면 몇프로 이익부터 수익인지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쉽게 알수있을까요?
예를들면. 금1돈을 사면 이런저런 제반비용 다 빼고 10프로 이익이 나야 그때 본전이다 라던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과 관련하여 투자하시는 방법으로는 직접투자와 간전투자 2가지의 방법이 있고 각 투자에 따른 수수료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직접투자 - 골드뱅킹 (금계좌) 또는 실물 골드바 구입
골드뱅킹은 은행앱을 통해서 쉽게 개설이 가능하며, 0.01g단위로 매입이 가능하시고 사고팔때마다 1%의 수수료가 발생
간접투자 : 금ETF, 금펀드
금펀드는 금을 채굴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금시세의 움직임과는 약간의 괴리가 발생할수 있으며, 수수료는 1%내외
금 ETF는 금과 관련 업종에 대한 ETF투자로 골드뱅킹이나 금펀드 보다 저렴한 수수료를 내게 됩니다. 하지만 국내 ETF의 경우는 차익에 대해서 15.4%가 배당소득세가 발생하고, 해외ETF는 2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어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단순하게 금 실물을 사시게 되는 경우에는 '금메도가격-금매수가격' 이 부분이 그냥 수익이 되시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일단 매수와 매도시에 이미 금에 대한 수수료를 차감하고 매수매도를 하시는 거라서 따로 수수료를 계산하실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을 현물을 사신다면 일단 부가가치세 10%를 납부하여 시작하시기 때문에
이에 대한 10%를 손해보고 시작한다고 생각하시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