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단단한흑로182
단단한흑로18223.02.08

고금리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도대체 고금리가 언제까지 유지될까요 지금기세로보면 계속 미국은 인상할것 같은데 너무 힘드네요 언제쯤 내려갈까요 이자너무 아까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고금리가 떨어지려면 물가가 2~3%는 내려와야합니다

    최소 이번년은 고금리로 유지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되고 있지만 다행인점은 기준금리 인상과는 반대로 시중은행들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는 12월을 기점으로 내려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작년 12월 초 1년만기의 대출금리가 7%였던 것에 비해서 현재는 동일한 1년만기의 대출금리가 5.5%로 매우 많이 내려간 상태입니다.

    다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앞으로 2차례 정도 더 예상됨에 따라서 우리나라 또한 기준금리 인상이 추가적으로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기에 현재 대출금리보다 소폭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해 중순에는 금리의 정점을 찍고 하반기부터는 조금씩 인플레이션의 억제에 따라서 금리가 우하향을 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5.4%까지 보고 있다는 기사가 오늘(2월 8일)에 나왔습니다. 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하고 있는데 지난밤에 발표한 미 1월 비농업 일자리가 시장 전망치의 3배가 나옴에 따라 다시금 미 연준은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계없이 올해안에 금리 인하 계획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인데 미국이 5.4%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때 우리 기준금리 3.5%에서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더욱이 공공요금(전기, 가스, 교통요금등)에 줄줄이 올라 인플레이션 상승을 자극하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어쩔 수 없이 금리를 1회 이상은 인상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올해 말까지는 3%대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역설적으로 경기가 좋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할 명분이 없는 상황입니다.

    • 경기가 어려워지면 전처럼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할텐데 현재로는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고금리와 같은 경우에도 차츰 상승속도가

    완화될 확률이 높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