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곰돌이푸와피글렛
곰돌이푸와피글렛

면역학, 분자생물학 계열도 물리나 공학처럼 똑같이 일반 고졸이 독학하는데 한계가 있나요?

우리가 과학이라고 하면 수학이나 물리 혹은 공학은 독학이 사실상 어렵다고 하는데 생물계열도 마찬가지인 건지 궁금합니다. 특히 면역학이나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계열은 아예 독학이 불가능한 건지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된다고 단정지어 말씀드리지는 못하지만,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이 분야들은 일반 생물학과 유기화학, 생화학과 같은 방대한 기초 지식이 필수적인데, 이 기초가 없이는 심화된 개념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적 분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전문 용어가 많아 체계적인 학습 없이 접근하기가 까다롭.

    특히, 생명과학은 실험 기반 학문이라 독학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면역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같은 생명과학 분야는 물리·공학보다 접근 장벽은 낮지만, 깊이 있게 독학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우선 면역학이나 분자생물학의 기초 개념인 세포 구조, DNA 복제, 항체 반응, 신호전달 등은 수학보다 언어적·개념적 사고에 의존합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수준의 생명과학 배경만 있어도 기초 교재를 통해 이론적 지식은 충분히 독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논문 이해, 신호전달경로·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등에 부분의 경우 통계학, 생물정보학(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열역학·화학 평형(분자 결합 이해) 등이 필요해지므로, 이때부터는 물리·공학 못지않은 수학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즉, 입문은 쉽지만 심화로 갈수록 물리학처럼 수학·화학·프로그래밍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면역학·분자생물학의 본질은 세포나 분자 수준에서의 실험 관찰입니다. 이 분야는 지식이 아니라 결과를 재현하고 검증하는 능력이 핵심이기 때문에, 실험실 장비인 PCR 장비, 세포배양기, 현미경, flow cytometer 등과 생물시료 접근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론 독학은 가능하나, 실제 연구 수준의 독학은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면역학이나 분자생물학 계열도 일반 고졸이 독학으로 깊이 있는 이해와 전문성을 갖추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생물계열 과학 역시 수학, 물리학, 공학처럼 실험 기반 지식과 고도의 전문 용어, 복잡한 개념적 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면역학이나 분자생물학은 최신 연구 결과가 빠르게 갱신되고 실험적 증명이 필수적이어서 체계적인 교육과 실습 없이 교과서 지식만으로 현장 이해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독학으로 기본 개념을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나, 세포생물학이나 분자생물학의 심화 과정이나 실제 연구 분야의 문제 해결 능력은 전문적인 환경과 지도를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면역학, 분자생물학은 이론자체는 독학이 가능하지만, 실험기술과 데이터해석능력이 필수라서 연구 수준의 이해는 실험 인프라없이는 한계가 있습니다.

    즉, 교재와 논문으로 개념을 익힐수는 있지만 실제 검증이나 응용은 연구실의 환경과 이와관련된 멘토링이 없으면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는데 맞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