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1.11.18

뇌졸중으로 인한 마비는 원상회복이 어렵나요??

주위에 뇌질환으로 한쪽 다리와 팔이 자유롭지 않은

경우를 주변에서 자주 보곤 합니다.

다른 질환은 수술하면 차도가 좋아지는 케이스가

많이 있는 반면 뇌관련 질환은 후유증이 심각한 것 같아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뇌졸증은 뇌출혈과 뇌경색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뇌혈관 질환입니다.

    뇌졸증이 발생한 후 수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우리 몸의 팔다리 운동을 관장하는 뇌세포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인체에 가역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질환들과는 달리 비가역적인 손상으로

    아직까지는 뇌졸증으로 인한 영구적인 손상을 완전히 회복시키는 치료법이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의 생각과 같이 후유증이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마비가 온 경우는, 해당 부위의 운동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기능을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완전한 회복은 힘들며, 재활치료를 통해 가능한 최대한의 운동기능을 회복하고 각종 보조기구를 이용해 최대한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증상은 초기에 얼마나 빨리 대처하느냐에 따라 호전의 정도가 결정됩니다.

    빨리 대처를 하셔서 뇌 손상이 적거나 거의 없으면

    일상생활에 무리가 없을 만큼 회복이 됩니다.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서 뇌에 손상이 있으면 있을수록 회복 상태는 더디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이미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면 그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는 원상복구 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항상 미리 혈관질환을 조심하고 해야 하는 것이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뇌졸중 중 내셩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측 마비 증상은 증상 발생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경우에는 가역적입니다. 하지만 뇌혈관이 막힌 뒤에 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비가역적으로 되어 회복이 불가하며 후유증이 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뇌를 이루고 있는 신경조직은 분화과고도로 되어 있어서 한번 손상이 되면 재생되기가 쉽지 않습니다.

    뇌졸증은 일시적으로 뇌세포에 산소공급이 되지 않아서 뇌조직에 손사이 오는 질환으로 정도에 따라 다르지면 회복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뇌졸증등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해질경우에는 대부분 재활훈련등으로 몸의 기능을 최대한 올릴수 있도록 하는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

    뇌는 중추신경계 이기 때문에 한번 손상이 오면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6개월까지를 회복기간으로 보고 6개월이 지나면 영구적으로 장애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20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초기 기능 손상 정도와 장애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운동 기능은 발병 후 3개월까지 빠르게 회복되고 3~6개월까지 그 보다 더딘 호전을 보입니다. 이후에는 미미한 변화가 일어나고, 물론 6개월 이후에도 환자의 노력과 적절한 재활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이 가능하나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예상 회복 수준도 떨어질 가능성이 높게됩니다.

    즉, 발병초기의 회복수준이 중요하며 이후에 회복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꾸준한 재활치료를 통해 이전과 달라진 기능에 대한 적응과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뇌졸증으로 인한 마비는 초기 6개월 안에 좋아지지 않으면, 추후 운동능력 회복이 더딘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초기 6개월 이후에도 계속적인 재활훈련으로 운동기능이 어느정도 회복될 수 있으나, 회복이 잘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보통 2년까지는 회복이 가능한 기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뇌졸증은 평생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평소 뇌졸증의 예방이 중요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