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명랑한코뿔소224
명랑한코뿔소22422.11.29

코로나가 팬데믹까지 가게 된 이유가 뭔가요

코로나와 비슷한 바이러스가 메르스와 사스도 있다는데 왜 두개의 바이러스는 대유행을 하지 못하고 코로나만 유행을 한건가요 어떤 시기적 조건이 있던건지 아니면 바이러스 전염성이 더 강했던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의 팬데믹 원인을 바이러스의 특징을 말하기도 하고, 환경변화와 같은 다른 원인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먼저 코로나19는 적당한 치시율과 높은 전염역이 있어서 팬데믹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에볼라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치사율 90%로 기주인 사람이 바이러스와 함께 죽어버렸기 때문에 팬데믹까지 가지 못했다고 합니다. 메르스와 사스는 잠복기에 전파력이 없었지만 코로나19는 전파력이 있는 무증상감염이 있어서 팬데믹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다른 과학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동물과의 접촉증가, 높은 인구밀도, 세계적인 사회교류가 맞물려 임계점을 초월했다고도 합니다. 또 다른 학자들은 기후변화가 바이러스와 인간의 접촉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는 다른 바이러스들과는 다르게 계절에따라 약화되는 조짐이 없었고, 이전에 겪어본 바이러스가 아니라서 항체가 전혀없었습니다. 또한 치사율이 그렇게높지않고, 비말전파력이 강해 빠른 전염이 이루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