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13

채권금리와 기준금리는 어떤관계일까요?

채권에 요즘 많이들 투자하시는데요. 채권에도 채권금리라는게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채권금리도 결국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을거라 생각되는데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는 발행되는 액면적인 금리인 '명목금리'와 실제로 채권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실질금리'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발행시에 표시되는 '명목금리'는 기준금리와 동일한 방향인 '비례'관계를 가지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실질금리'의 경우는 '채권의 거래가격'과 관련이 있는데, 기준금리의 방향과 '실질금리'의 방향은 반대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채권이라는 것은 '차용증서'의 일종으로 타인에게 돈을 빌리는 행위이다 보니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그 인상분에 따라서 더 높은 금리로 타인에게 돈을 빌려야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발행되는 '명목금리'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기준금리와 '비례'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의 발행금리가 높을수록 자연스럽게 전에 발행하였던 '저금리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여기서 채권의 가격이라고 하면 '액면가'가 아닌 채권이 거래되는 '시장 거래가격'을 의미하는 것인데, 채권 시장 거래가격과 금리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1. 2021년 1월에 100만원짜리 2년만기 2.5%짜리 채권이 발행되는데 당시 기준금리는 0.5%

    2. 2022년도에 기준금리가 상승하여 4%

    3.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측하여 손해를 보더라도 파는게 좋다고 판단

    4. 100만원짜리 채권을 98만원에 2%로 할인해서 판매

    위의 사례를 보게 된다면 채권을 구입한 사람 입장에서는 98만원에 채권을 샀지만 실제로 이 채권은 100만원이며, 만기에는 100만원 + 2.5%의 이자를 지급하게 받게 됩니다. 그렇기에 만기에는 원금 98만원에 (100만원-98만원)의 차익금 2만원과 이자 2.5만원을 받아서 실제 수익률은 4.59%의 수익률을 거두게 됩니다.

    여기서 채권의 발행 이자율인 2.5%는 '명목 금리'이라고 하며, 저렴하게 사서 만기에 받은 수익률 4.59%는 '실질 금리'이라고 하게 됩니다. 예금금리와 채권가격 그리고 채권의 '실질금리', '명목금리'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금리인상 - 채권가격 하락 - 실질금리상승 [신규발행 채권 '명목금리'는 상승]

    • 기준금리하락 - 채권가격 상승 - 실질금리하락 [신규발행 채권 명목금리'는 하락]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의 경우 기준금리와 함꼐 움직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는 시기라면 채권금리도 상승하고, 기준금리가 향후 하락한다고 전망되면 채권금리도 함께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병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와 채권수익률(금리)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채권금리는 정확히는 채권수익률을 말합니다.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구요.


    일반적으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채권수익률은 오르고 채권가격은 떨어집니다. 그러나, 기준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수익률의 반응폭 및 반응속도는 그 당시의 경제상황이나 향후 금리 전망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해도 채권수익률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기준금리의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가 대표적이겠죠.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금리는 발행하는 회사의 신용도와 시장금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금리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채권금리도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를 인상했음에도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것은 시장참가자들이 중앙은행이 조만간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장기적으로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여 이를 선반영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