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고독한푸들266
고독한푸들26623.03.14

Svb 미은행 파산한 이유가 먼가요?

몇일 이슈로 svb 은행 파산뉴스가 나오는데 파산한 이유가 따로 있나요 ? 그리고 파산으로 인해 우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은행이 부실이 있다는 뉴스로 예금을 맡긴 사람들이 불안으로 뱅크런이 발생하였고 이전과 다르게 빠르게

      스마트폰 뱅킹으로 예금을 인출하여 이틀만에 은행이 파산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 미국정부가 지급보증을 해준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 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자금을 장기국채 등에 투자를 하였고

    금리가 오르자 많은 기업들이 자금을 인출하는 등

    뱅크런 현상이 보이자 이에 유동성이 부족하여 파산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에 대해서 제가 정리한 것을 순서대로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 실리콘밸리은행이 안전자산으로 투자하였던 채권의 가치 하락 (거래가격의 하락)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은 금리상승으로 인해서 유동성 하락

    • 은행거래을 거래하는 스타트업기업들의 유동성 하락에 따른 예금 예치 감소 및 자금 사용 증가에 따른 예금인출 증가

    • 기업들의 예금인출을 위해서 보유중이던 채권의 매도
      (대출채권 회수는 만기전에 불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자산 회전이 가능한 채권을 매도)

    • 채권의 만기 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 손실이 발생, 이로 인해 은행의 손실 규모 확대

    • 실리콘밸리 내 펀드회사가 실리콘밸리은행의 상황을 SNS에 알리면서 예금자보호금액인 25만달러 이하 금액으로만 유지하라고 함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많은 기업들이 한번에 자금 인출을 하려고 시도 (뱅크런사태)

    • 예금부족으로 인한 파산

    다만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에는 급격한 금리인상이 원인이 되었지만 이 외에도 해당 은행의 수익 구조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였다 보니 금리인상에 따른 수익이 안정적이지 못하였던 점도 하나의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은 경제에는 안좋은 징조가 되었지만 연준에게는 경기침체의 시그널을 보여줄 수 있게 되어 오는 3월 23일 연준의 금리인상에 제한을 걸게 되어 오히려 증시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리콘밸리뱅크(SVB)의 경우에는 스타트업과 벤쳐캐피탈(VC)을 전문으로 하는 은행이었습니다. 주 고객이 실리콘밸리 지역의 스타트업과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VC 였으며, 해당 예금의 절반이상이 미국 국채에 투자되어 있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스타트업들의 자금난으로 인하여 예금들이 출금되기 시작하였고, 지난 1년간 금리가 급상승하면서 크게 손실난 채권을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 팔기 시작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 되었고, 이로 인하여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유상증자까지 실패하게 되면서 자금조달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안좋은 상황이 알려지자 너도나도 인출하고자 하며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위에 원인늘 보시먼 아시는 것처럼 이번 문제는 미국내로 한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미국 국채의 가격하락이 문제의 원인이 된 만큼, 한국에서도 미국 국채에 투자 비중이 높은 곳이 있다면,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