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티니핑 인형을 사달라고 너무 떼쓰는데요. 어떻게 진정시킬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츄핑 영화를 보고나서 하루왼종일 인형들 사달라고 떼를 쓰거나 요구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를 적절하게 가르치고, 떼쓰기를 줄이려면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기를 줄이고 적절하게 가르치기 위해 일단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 인형이 정말 갖고 싶구나!”라고 말해 주세요.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왜 그 인형을 원하고 어떤 기분이 드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아이가 원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인형은 다음 주 생일이나 특별한 날에 사주기로 하자!”와 같은 조건을 제시해 보세요. 미리 약속을 하면 기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을 할 때 작은 보상을 주는 시스템을 도입해 보세요. 인형을 사주기 전까지의 행동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자신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얻는지에 대한 사례를 보여주세요. 예를 들어, 원하는 것을 기다리거나 다른 활동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아이가 떼쓰기를 줄이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배우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아이가 덜 조르게 될 것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교육해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인형이나 장난감을 사달라고하는 상황은 흔히 발생합니다. 이런 떼쓰기를 줄이려면 몇 가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 감정 관리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왜 인형을 원하는지 이야기하게 하고, 그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너가 인형을 갖고 싶구나, 그 이유가 뭐니?"라고 질문해보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 한정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인형을 요청할 때, "지금은 인형을 사줄 수는 없지만, 다음에 사줄 수 있어" 또는 "이 인형과 저 인형 중 하나를 선택해 볼래?"와 같이 선택지를 주면 아이가 스스로 결정을 내리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셋째, 대체 활동을 제안하세요. 인형에 대한 관심을 다른 활동으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함께 인형을 만들거나 인형 놀이를 하는 시간을 가지면 아이의 관심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관성 있게 대처하세요. 떼쓰기에 대한 반응을 일관되게 유지하면 아이가 어떤 행동이 허용되고 어떤 행동이 허용되지 않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떼쓰기를 했을 때는 무조건 사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는 칭찬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요즘 아이들 한테 티니핑이 유행 되어서 너도 나도 사달라고 조르는 아이들이 많은 것 같더라구요.
아이들에게 다 사주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겠지만, 아이가 원하는대로 사달라고 하는대로 다 해주는 습관이 형성 되어진다면 아이는 이 모든 것들을 당연함으로 여기게 되기 때문에 되는 것과 안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을 시켜서 알려주는 것이 좋겠구요.
아이가 떼를 부리면서 사달라고 조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갖고 싶다고 해서 그 물건을 사달라고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우선 떼쓰기를 멈추게 해야 합니다 아이들은 원하는 것이 있으면 쉽게 얻기 위해 말로 하지 않고 소리 지르거나
흥분 하면서 떼를 씁니다 울거나 하면 엄마가 너의 말을 알아 들을 수 없다 울지 말고 이야기 하면 너가
원하는 것을 들어 줄수 있다고 하고 우선 아이가 울지 않고 말하는 것을 습관화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이가 울지 않고 말을 한다면 상황에 맞게 아이에게 해줄 수 없는 건 해줄 수 없다고 이유를 설명하고 이해 시켜
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원한다고 모든 것을 다 사줄 수는 없습니다.
생일이나 크리스마스 같은 날이나 보상 스티커를 통해서 사줄 수 있도록 합니다.
또는 아이가 용돈을 모아서 사줄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개념을 가르쳐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함께 원하는 인형에대해 이야기해 보세요. 왜 그 인형이 특별한지, 다른 대안이 있는지 논의를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 주세요. '너무 갖고 싶구나!'라고 말하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는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