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잘난나무늘보98
잘난나무늘보9823.10.02

명왕성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행성중 명왕성은 현재 퇴출이 되었지만 명왕성 같은 경우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었던 행성이였나요?? 그리고 퇴출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9번째 행성으로, 1930년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으로, 지구의 1/9 크기이며 질량은 지구의 1/150입니다. 명왕성의 표면은 메탄, 질소, 일산화탄소로 이루어진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평균 기온은 -229℃입니다.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왕성의 크기와 질량이 기존의 행성과 비교하여 현저히 작다는 점.

    명왕성의 공전 궤도가 해왕성의 공전 궤도를 교차한다는 점.

    명왕성 주변에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의 천체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점.

    등의 이유로 퇴출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으로 분류되었었으나 현재는 왜행성(또는 왜소행성, dwarf planet)으로 분류된 천체입니다. 이심률이 매우 큰 타원궤도를 공전하므로 태양과의 거리는 29AU~49AU(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이며, 약 248년을 주기로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해왕성의 공전궤도 반지름이 29.8AU~30.3AU이므로 때에 따라서는 해왕성보다 안쪽에 위치하기도 합니다.

    명왕성의 공전 궤도면은 지구의 공전 궤도면과 약 17° 기울어져 있으며, 지름이 약 2400km로 달의 2/3 정도입니다. 밀도는 1.8 ~ 2.1 g/cm^3이며, 표면온도는 -233°C로 알려져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해왕성 너머에 있는 천체의 고리인 카이퍼 벨트에 배치해 있다. *태양계에서 퇴출되었지만요.


    명왕성은 얼음과 암석으로 구성된 행성이며, 표면의 색상과 밝기에 큰 차이있습니다. 하얗게 빛나는 영역, 숯과 같은 어두운 영역 및 짙은 주황색 영역이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위성 중 하나는 카론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