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 일주일정도 지난 아이를 키우는데
111일 된 신생아를 키우는중인데
아이가 계속 울고,보채고
다른때보다 유독더 잠도못자는데 왜그런걸까요?
자더라도 20분정도의 새우잠밖에못자구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울고 보채고 하는 이유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습니다.
방 안의 온도와 습도가 맞지 않아서, 소음으로 인해서,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서, 배가 고파서, 소화가 되지 않아서, 기저귀가 축축하거나 더럽거나 찜찜해서, 배앓이,, 윈더윅스, 모로반사, 잠자리가 불편해서, 불안해서 등 다양한 원인이 있겠습니다.
아기의 울음의 소리를 잘 파악하고, 아기의 울음 소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아기를 유심히 잘 살피어 아기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기가 운다면 아기 옆에 누워서 아기의 등을 토닥이며 아기의 울음이 잦아들때 까지 아기를 잘 달래어 주면 좋을 것 같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신생아 시절에 잠을 비교적 잘 자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이렇게 잠을 자지 않는 아이들이 이씃ㅂ니다. 이는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 다릅니다.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재우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안아서 재우면 잠을 잘 잔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많은 노력을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기 이 시기에 자주 깨고 보채는 것은 생리적이고 발달적인 이유가 클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기다리면 아기의 수면 패턴이 안정되고, 자주 깨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기의 건강 상태나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확실히 알고 싶담녀 소아과 의사와 상담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00일 전후는 아기의 뇌와 몸이 급격히 성장하고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뇌의 발달과 관련된 감각 자극이 많아지고, 아기가 세상의 새로운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예민하고 불편함을 느끼며 자주 깨어나거나 울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100일을 조금 지난 시점에서 울고 보채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아기의 발달적 변화와 신체적, 심리적 변화가 함께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배앓이, 가스, 소화불량 등도 아기가 잠을 잘 못 자게 만드는 주요 원인입니다. 이런 불편함은 신경계와 소화계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여전히 자주 먹어야 하기 때문에, 배고픔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수유 후에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포만감을 오래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기가 100일이 지난 시점에서 울고 보채며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은 발달적 변화와 관련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습니다.
아기의 수면 패턴 변화, 배고픔, 소화 불량이나 불편감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의 유연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불편해하고, 극심하게 울거나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징후(발열, 급격한 체중 감소 등)가 보인다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여 건강 문제를 점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날수있도록 부모님이 인내심을 가지고 지도해주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11일 아기는 성장 급증기나 수면 퇴행을 겪는 중일 가능성이 큽니다. 배앓이나 주변환경도 확인하세요. 안정감을 주고, 낮과 밤의 환경을 명확히 구분해 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11일 된 아이가 평소보다 더 울고 보채며 잠을 못자는 경우는 성장 급증기, 수면 퇴행, 불편함, 감각 과부하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기를 안아 안정감을 주고,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휴식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원래 신생아 그리고 100일 정도가 된 아이들은 오래 잠들기보다는 쪽잠을 자면서 수면 패턴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어요. 점진적으로 나아지기는 하겠으나, 너무 수면 문제가 심하거나 아이가 많이 우는 등 스트레스가 심해 보인다면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듯 해요. 우선은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재우시면서 수면 패턴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시는 것이 필요해 보여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