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2.17

말보다 몸이 빠른 아이 어떻게 고쳐줘야 할까요?

아이가 평소 뭘 달라고 얘기하기 보다 몸으로 먼저 반응해서 낚아채듯 가져가 버립니다. 그렇게 하지 말라고 얘기를 계속 하고 있는데 고치기가 쉽지 않은데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감정표현이나 의사표현이 서툽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이 생겼을 때는 말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 보다는 몸이 먼저 반응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불편한 마음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말보다 행동이 앞선 아이들에게는 상황에 맞는 말하기 방법을 알려주고 원하는 것을 말로 얻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줘야 합니다.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황을 직접 만들어 아이와 활용할 수 있게 끔 아이가 이해할 수 있게끔 연습하여 체득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하던 행동을 멈추게 하고 "어떻게 해야 할까?"하고 아이에게 자신이 하는 일을 생각해 보게 해 주세요

    그리고 반복적으로 이야기 해 주세요

    아이도 연습을 하며 느끼는 방법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은 화를 내는 게 아닌 해야하는 것과 하면 안되는 것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또 부모와 아이는 타협하는 관계가 아니며 의사결정의

    주도권은 양육자에게 있어야 합니다.

    아이의 훈육은 부모의 행위가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행위를

    가장 많이 모방합니다. 부모와 아이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부모의 행위가 아이에게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가정에서 욕설을

    하거나 잦은 다툼이 있는 불안정한 가정에서 아이는 그 과정을 배우고

    학습합니다. 아이는 외부에서 그런 행동을 스스럼 없이 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훈육은 반드시 하면 안되는 행위에 대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사랑하지만 잘못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때로는 엄하고 스스로 생각

    할수 있는 아이로 키워야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의 행동을 보일때마다 아이에게 이러한것은 말을 먼저해야되는것을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이러한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몸이 먼저 나올때는 줄수없다는것을 알려주고

    반복적으로 아이가 가져갈때 말을 하고 가져갈수 있도록 연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말보다 몸이 빠른 아이의 경우 자신의 감정이나 원하는 바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그런것입니다.

    아이들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하며 대화를 나누고 적절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시간을 들여 지속적으로 도와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가 어느 정도 의사표현이 가능한 아이라면,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바랍니다.

    부모가 주기 전에 가져 가는 것은 아니라고 자주 교육을 시켜 주셔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