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세종때 백정을 일반 백성으로 편입시키려고 제도를 개편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세종때 고려때부터 있어왔던 백정을 일반 백성을 정착시키려고 제대로를 개편했다고 들었습니다.
당시에 이 같은 제도를 개편해서 만든 이유와 언제까지 유지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 세종은 국가체제 정비 과정에서 양수척 등을 양인화 시켜 국력을 증진하고 동화시키려 했는데 그러한 의미에서 양수척 화척을 백정이라 부르게 하면서 적극적인 정착유도정책을 꾀합니다.
문제는 양수척 화척의 생활상이 일반 농민과 너무 달랐는데 남녀와 노소를 가리지 않고 말을 타고 유랑하던 집단을 강제로 정착을 시키자니 개간된 땅은 부족하고, 농사일은 익숙하지 않고, 말을 타고 무기를 휘두르던 버릇이 있어 강도질의 유혹에 빠지고, 정착하고 싶어도 정착할 만한 항산이 없는 경우도 많고, 고기를 먹고 살았으니 소고기 금지령에 대놓고 반하고 싶고, 기존의 거친 생활상으로 인해 범죄에 대한 거부감도 약한 편이었으니 화척들은 백정에 편입되는 것을 원치않았으며 기존의 백정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많았습니다.
백정들은 자신을 구백정이라 부르고 화척들은 신백정으로 구분해 동화되는 것을 꺼렸고 이로 인해 기존의 농민들과 신백정들의 관계는 크게 악화되며 결국 시간이 흘러 구백정은 백성이라 칭하고 백정은 화척들만을 칭하는 단어로 남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