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민첩한아기코끼리
민첩한아기코끼리22.09.14

소화기가 불을 끄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액상형 소화기의 경우에는 물과 불이 만나서 불이 꺼지는 것으로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보통의 소화기는 분말형이 많던데 분말형 소화기의 경우에는 불을 어떻게 끄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분말 자체의 성분이 열을 내리는 역활을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담요나 도포 같은 역활을 하면서 공기 중에 산소를 차단하여 불을 끄는 것인가요? 그리고 분말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졌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연소의 조건은 온도, 산소, 발화점 입니다.

    소화기는 온도도 내리면서 산소 공급 또한 차단합니다.

    분말형의 경우 분말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산소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있고, 분말가루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분말 소화기 속에는 제1인산암모늄이라는 가루가 들어 있고 화재가 난 곳에 뿌리면 냉각효과 및 산소차단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