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해전시 배가 붙어서 백병전을 많이 펼치긴 했나요?
임진왜란당시 해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가 많았는데요 이 당시에 백병전을 많이한 모습도 나오는데요 당시 배가 붙어서 백병전도 많이 펼치긴 했나요?
임진왜란 중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 사이의 백병전 여러 해전에서 일어났습니다. 특히 조선 수군은 판옥선과 거북선은 우수한 전투력을 발휘하여 일본군과의 백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했습니다.
거북선의 철판 갑판으로 적이 올라타지 못하게 하였으며, 화포로 제압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판옥선은 튼튼한 구조 덕분에 일본 수군과 백병전에서 우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왜란당시 해전에서 백병전은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해전에서 백병전을 벌일려면 배들끼리 가까이 근접해서 갈고리등으로 얽맨다음 병사들이 상대방 배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일본군은 이렇게 하기를 원했죠. 개개인의 전투력은 일본군의 우위였으며 해적직에서 이미 검증되고 익숙한 방식이니까요. 하지만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함대는 원거리 포 사격으로 다수의 일본함대를 격파하는 방식을 주로 썼습니다. 그리고 배밑이 뾰족한 첨저선인 일본배에 비해 조선 수군의 배는 평저선이어서 일본의 배가 가까이 근접하면 충돌시켜서 가라앉히는 전법을 썼습니다. 따라서 해전에서 백병전은 거의 드물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그렇습니다. 단, 백병전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왜군에 유리했기 때문에 조선 수군은 주로 일자진(배를 ㅡ 모양으로 펴서 진을 치는 것)을 펴서 주로 총통(화포)를 통해 멀리서 왜적선을 공격하는 형태를 많이 취하긴 했었다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