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각각의 컨펌수가 다른 이유가 있나요?
거래소나 개인지갑에 수많은 암호화폐를 전송할 때마다 각각 컨펌 수가 무척이나 차이가 나서 불편한 적이 많습니다. 특히 비트코인 캐시의 경우 어떨 때는 전송 후 6시간이 지나서야 컨펌이 되는 등 프리미엄 이득을 보려고 해도 이로 인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왜 이렇게 암호화폐마다 컨펌 수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에 잇따라 ‘51% 공격’(double spend·이중 지불)’이 발생하면서 거래소들이 안전한 거래를 이유로 일부 암호화폐의 입금 확정(컨펌) 단계를 상향 조정했다. 이처럼 거래소가 입금 확정을 늦추면서 고객들이 거래를 확정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어졌습니다.
최근 문제가 불거진 ‘51% 공격’은 블록체인 연산능력의 과반수 이상을 확보해 무단으로 이중 지불 형태로 입금을 한 후 에 이를 빼가는 것을 말한다. 이중지불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거래 확정을 늦추면 예방이 가능하다.
현재 업비트 빗썸 코인원등 모든 거래소가 컨펌수를 상향하여 지갑을 개선했습니다.
거래소가 컨펌 횟수를 높였지만 여전히 불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거래소 컨펌 횟수가 개발팀이 제시한 횟수에 한참 못 미쳐 51% 공격에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 51% 공격을 당한 젠캐시 측은 안전기준을 100회, 비트코인골드는 50회로 상향 조정했다.
거래 기반이 약한 알트코인들이 주 해킹 대상이다. 시장에서는 규모가 작은 암호화폐들이 외부공격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거래소들은 알트코인 상장 의존도가 높아 PoW 합의 증명 방식의 암호화폐를 상장할 경우 같은 문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는 지적이다. 비트코인골드는 51% 공격으로 200억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져 투자자들의 우려 섞인 목소리가 적지 않다.
반면 거래검증 시간을 충족시키기엔 거래에 적합하지 않다는 시선도 존재한다. 블록 생성 주기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란 것이다. 비트코인골드 측이 제시한 50개 블록을 만족하려면 최소 8시간이 필요하다. 거래 시간이 무한대로 늘어나면 안정성을 담보할 순 있지만, 거래 처리 속도에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