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비상한듀공157
비상한듀공15723.11.14

화장실 변기에서 오물 내려가면 어디러

화장실 변기에사 오물들이 내려가면 어디로 모아지나요??? 아파트입니다. 한곳애 모이기는 할텐데 그곳이 아파트 어딘가 위치해 잇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장실 변기에서 오물이 내려가면 어디로 모아지는지 궁금하신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아파트에서는 오물이 하수관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하수관은 아파트 건물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요. 변기에서 내려가는 오물과 함께 다른 가정에서도 내려오는 오물들이 이곳으로 모아지게 되는 거죠.

    하수관은 지하수처리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하수처리장에서는 오물을 여러 단계를 거쳐 정화하여 물로 만들어 다시 자연으로 배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변기에서 내려가는 오물도 결국 지하수처리장으로 모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아파트마다 하수관의 위치나 연결 방식은 다를 수 있어요. 궁금하신 아파트의 경우 관리실에 문의하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오물이 지하수처리장으로 모아지기 전에는 냄새나 오염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되니 변기 사용 후에는 물을 잘 내려주시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변기에서 내려가는 오물은 지하수처리장을 거쳐 자연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4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곧바로 각 가정마다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배수관을 따라 쭉~이동하던 똥은 곧 아파트에 설치된 정화조로 이동합니다

    그런다음 발생한 모든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합니다.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오수와 빗물(우수)을 분리해 처리하는 '분류식 하수도'와 두 가지를 함께 흘러가게 하는 '합류식 하수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19년 기준 분류식 오수관 및 우수관로가 73%, 합류식 하수관로는 27%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과거 대부분의 하수도는 적은 예산 때문에 합류식 하수도를 사용했지만, 장마철 빗물과 함께 오수 일부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엔 분류식 하수도가 확대 도입되는 추세죠.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아파트나 건물이나 다 마찬가지로 한곳에 모이며 근처에 보면 맨홀뚜껑에 오물이나 정화조등의 표기가 된것이 있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화조에 모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지하에 위치한 정화실 또는 지하 정화장에 정화조를 포함합니다. 이 정화실은 아파트 단지의 전반적인 하수 처리를 담당하며, 건물 간에 배관 네트워크를 통해 오수가 이곳으로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파트 지하로 모인 뒤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게됩니다.

    하수관이 막힐 수 있기에 아파트 지하에서 1차적으로 큰 이물을 제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장실 변기에 내려간 오물들은 하수구를 통해 모아집니다. 하수구는 아파트 단지 내의 모든 화장실, 싱크대, 세면대, 욕조 등의 배수구를 연결하는 배관입니다. 하수구는 아파트 단지 외부에 있는 하수처리장으로 연결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최근아파트의 경우 1차 정화장소로 모여 큰이물질등이 제거되고, 하수관을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동하게됩니다.


    구 아파트들의경우 정화조를 주기적으로 비워주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즉, 변기 물은 하수로 구분할 수 있고, 사용한 변기 물은 하수관을 따라 처리장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자연 수역이 아닌 처리장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하수가 현탁성, 콜로이드성, 용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생태계 파괴 및 수계전염병 전파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위적인 방법으로 2~3차의 정화 과정을 거친 뒤 방류하거나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수의 정화 과정을 살펴보면 1차 처리 과정(물리화학적 처리)은 큰 덩어리와 작은 덩어리 등을 가라앉히거나 뜨게 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으로 2차 처리 과정(생물학적 처리)은 미생물과 산소, 응집제 등을 이용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침전시키고, 여과 및 소독하는 과정입니다.

    3차 처리 과정은 추가 하수 처리 과정으로 수역 보호의 목적으로 방류수의 수질을 높여 오염도를 낮추는 과정입니다. 보통 산업폐수일 때 이 과정을 추가로 거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수배관을 통해서 정화조로 가는거죠.

    그리고 정기적으로 오는 오수차량이 이를 수거해가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