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과 PBR이 높으면 우상향을 한다고 볼수 있나요?
주식 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 중 'PER과 'PBR에 대해 궁금합니다. 이 두 가지 지표가 주식 투자에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이 지표가 높으면 정말 주식이 우상향한다고 볼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PER과 PBR과 같은 경우에는 보통 낮을 떄에 저평가를 받는다고 하며
높다고 하여서 무조건 기업의 주가가 올라간다고 볼 수는 없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높다는 것은 주식이 현재 시장가치에 비해 고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높을수록 시장이 기업의 수익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과도하게 높은 PER은 고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PBR이 높다는 것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ER과 PBR이 높다고 해서 주식이 반드시 우상향을 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PER(Price to Earnings Ratio)와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식 평가 지표로, 각각 주식의 현재 가격이 기업의 수익 또는 장부가치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계산법: 주가 / 주당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
의미:
높은 PER: 주식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거나,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현재의 이익 대비 주가가 비싼 상태입니다.
낮은 PER: 주식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거나,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성장성을 낮게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현재의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한 상태입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계산법: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
의미:
높은 PBR: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이 높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경우입니다.
낮은 PBR: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기업의 자산이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거나, 자산의 수익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