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23.08.12

과거 고려시대 지눌이 말했던 정혜쌍수의 뜻은 무엇인가요?

과거 고려시대의 지눌스님께서 주장하셨던 사상이 있지요. '정혜쌍수(定慧雙修)'라는 것인데요.

고려시대 불교는 국교로써 많은 역할을 하였다 하죠. 그렇다면 그가 주장했던 이 정혜쌍수 정신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8.1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정과 지혜를 따로 닦을 것이 아니라 병행해야 한다는 불교수행법이라고 합니다.

    지눌에 의하면 불교적 수행의 요체는 정(定)과 혜(慧)에 있고

    정과 혜는 한쪽에 치우침 없이 고루 닦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정혜쌍수(定慧雙修)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적 수행의 요체는 정과 혜에 있고 정과 혜는 한쪽에 치우침 없이 고루 닦아야 한다는 것으로 정은 산란한 마음이 한곳으로 집중해 정신적 통일을 이룬 선정의 상태, 혜는 이러한 마음을 바탕으로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지혜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행은 삼매와 지혜를 같이 닦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삼매(사마디)는 마음을 집중하여 고요히 하는 것이고

    지혜는 꿰뚫어 보는 것으로 남방 위파사나의 '알아차림'이나

    선종의 '화두'를 드는 것 등을 말합니다.

    비슷한 말로 '지관쌍수'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정과 지혜는 서로 따로 닦을 것이 아니라 병행되어 닦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 입니다. 정혜는 본디 계·정·혜의 3학으로서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인데, 후세에 선을 닦는 자가 선정에만 치우치고, 교를 공부하는 자는 혜학(慧學)에만 치우치는 폐단을 낳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혜(定慧)는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의미하는 것이고, 선정은 흩어진

    마음을 집중시켜 정신적 통일을 이룬

    상태를 파악하고, 지혜는 사물의 본질을 깨닫는 것을 의미하는 지눌이 주창한

    불교 수행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