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항상 이기고 싶어해서, 지는 걸 인정하지 못하는데요. 아이 승부욕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친구들과의 게임이나 놀이에서 항상 이기고 싶어하고, 지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할 때에는 부모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게임이나 놀이는 이기고자 하는 게 아님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교육 활동 혹은 친구와 하는 게임이나 놀이는 정말 승패를 확실히 가리거나, 승리만을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체험하고 배우는 데에 의미가 있는 것이니 승패에 집착하는 것은 진정한 놀이를 즐기는 자세가 아님을 알려주는 것, 그리고 계속 그러한 태도를 보인다면 다른 친구들이 같이 놀이나 게임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알려주면서 행동을 교정하게끔 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승부욕이 강하게 타고 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가정에서 부모님도 승부욕이 강하다면
고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부모님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경우 아이들이 지기 싫어하고 이기려고 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승부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기는 날이 있으면 지는 날도 있으니
져도 괜찮다고 아이의 마음에 부담을 덜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승부욕이 강한것 같습니다. 활동에 참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고 실패도 배움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인지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항상 이기고 싶어해서 지는걸 인정하지 못할 경우 승부욕이 강하다는 신호입니다.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이에게 이기는 것 뿐만 그 과정이 중요함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이기는 것에만 집착하면 패배나 실패를 받아들일 수 없게 되어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자녀가 승리뿐만 아니라 패배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해주어야 합니다.
다음은 아이의 승부욕을 다루는 방법 몇 가지입니다.
승패보다는 과정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세요. 게임이나 놀이를 할 때 결과보다는 그 과정에서 노력한 것들을 칭찬해주세요. "네가 최선을 다해 노력했기 때문에 이긴 거야" 또는 "졌지만 네가 정말 열심히 했어!"라고 말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노력을 인정받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패배를 받아들이는 법을 가르쳐 주세요. 패배했을 때 실망하거나 분노하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므로 이해해주고 격려해줘야 합니다. "졌어 속상하구나!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더 나은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거야."라고 말하며 패배를 긍정적인 경험으로 바꿀 수 있도록 이끌어 주세요.
경쟁보다는 협력을 강조하세요. 친구들과 함께 하는 게임에서는 서로 협력하면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해주세요. 그리고 팀 플레이를 하면서 서로 도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들을 설명해주면 아이는 타인과 소통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
규칙을 지키도록 교육하세요. 승부욕이 강한 아이들은 종종 반칙을 하거나 상대방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이때 부모님께서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고 공정한 경기를 하도록 지도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규칙을 준수하고 책임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아이가 건강한 승부욕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 같이 협동할수있는 활동을 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결과에 대해서 서로 경쟁해서 이기는것보다는 같이 활동해서 달성하는것을 해주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나이가 정확히 몇살인지는 모르겠으나 보통 유치원 다닐 무렵부터 아이들은 이기고 싶은 욕구가 강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 부모는 승패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시키고, 게임이나 놀이의 즐거움 자체에 집중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지는 경험도 성장의 일부임을 알려주고, 패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놀이에서 지더라도 칭찬과 격려를 통해 아이가 패배를 극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승리보다 노력과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꾸준히 전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