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01

최근에 뉴스에서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뉴스에서 미국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성공이 가능할거라는 이야기를 본거같은데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가 된다면 사실상 에너지는 무한대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상으로는 무한한 에너지가 됩니다.

    원료로는 지구에 가장 풍부한 물에서 추출한 수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약 상용화가 된다면 에너지 위기에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실험적으로만 성공이 된것이고 실제 상용화를 위해서는 아주 먼 여정이 필요합니다. 최소 50년 이상은 걸릴것으로 생각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상용화된다 하더라도, 핵융합 자체가 완벽한 에너지 소스가 아니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무한대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습니다.

    핵융합 연소는 원자 간에 근접한 거리에서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거리는 약 1센티미터 정도입니다. 이는 원자 간에 근접한 거리가 아니라면 핵융합 자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핵융합 연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양의 원자 간에 근접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제한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무한대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1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큰 단계입니다.

    탄소배출 없이 우리 사회에 전력을 공급해줄 핵융합 발전이 있는데요

    21세기의 가장 인상적인 과학 업적 중 하나 인데 방법은

    로런스 리버모어 연구팀이 사용한 ‘관성 봉입 핵융합(inertial confinement fusion)’ 기술은 192개의 초강력 레이저를 통해 태양보다 더 뜨거운 섭씨 1억 도 이상의 초고온 환경을 만들어 핵융합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1.1MJ의 순 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지만 레이저 기기에 소모된 에너지만 322MJ에 이른다. ​

    현재 이 레이저는 하루에 몇 차례만 빔을 쏠 수 있는데, 발전소 연속 가동이 가능하려면 레이저빔 발사율이 훨씬 높아져야 한다. ​

    결과적으로 상용화를 위해선 이번 연구에서 기록한 154%의 출력을 최소 3000%까지는 끌어올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