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기를 운전할때 정역운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동기를 운전하게되면 정운전을 할때도 있고 역운전을 할때도 있는데요 이것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제어 방식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전동기의 정역운전은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기제어 방식에서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합니다. DC 모터의 경우, 전류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스위치를 변경하거나 다이오드를 활용한 방식이 사용됩니다. AC 모터는 주로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위상 변환을 통해 회전 방향을 바꾸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또한, 인버터나 리버스 스위치 등의 장치를 활용하여 정역운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동기의 정역운전은 주로 3상 유도전동기에서 이루어집니다. 정운전은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고, 역운전은 전원의 두 상을 서로 바꿔 연결하여 회전 방향을 반대로 돌리는 방식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 회로에서는 주로 접촉기와 릴레이를 사용합니다. 접촉기를 이용해 상을 바꿔 연결함으로써 회전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 전자식 제어로는 인버터를 사용하기도 하며,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인버터는 주파수 변환을 통해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전동기의 정역운전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 방식은 많은 방식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교류전동기 - 전자접촉기 2개를 이용한 방식이 있으며 이는 가장 일반적인 제어 방식 입니다. 3상 전원의 2상 중 두 상을 바꾸면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상호 인터록 회로가 필요합니다.
단일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 - 수동 방식으로 전동기 배선에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용 스위치를 사용하며 소형 전동기에서 간단한 제어로 사용됩니다.
PLC를 이용한 제어 - 자동화 설비나 공장에서는 PLC를 이용한 제어가 일반적입니다. 프로그램에서 조건에 따라 정역운전을 판단하여 접촉기가 인버터를 제어하는 방식 입니다.
그 외에도 직류 전동기의 정역운전 방식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