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4

번개칠때 자동차 안으로 대피해야하는 과학적 이유가 궁금해요.

일반적으로 번개를 칠때는 나무밑으로 대피하는 경우가 많은거 같은데요. 나무는 전기가 흐를거 같지 않아서 안심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언뜻 듣기로는 자동차 안으로 대피하는게 더 안전하다는 말을 들은거 같아서요. 이건 어떤 과학적인 이유에서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형민 전문가blue-check
    이형민 전문가23.11.27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자동차에 치더라고 차체를 통해서 땅으로 번개가 내려갑니다. 따라서 안에 있는 사람은 전혀 피해가 없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 아래로 대피하는 것은 번개에 대한 오해일 수 있습니다. 사실, 나무 아래로 숨는 것은 번개에 대한 안전한 대피 방법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무는 높이가 있고 길게 뻗은 가지를 가지고 있어 번개에 적중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안으로 대피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속 차량의 특성:

      • 자동차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 전기를 흐르게 하기 어렵습니다. 차량의 금속 구조는 전기를 흐르게 하지 않고 차체 외부로 흘러나가게 만들어져 있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2. 고무 타이어:

      • 자동차의 타이어는 고무로 되어 있어 전기를 흐르게 하는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지면과의 절연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자동차 안전성이 높다고 해도, 번개가 매우 강력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 현상이므로 번개가 칠 때는 안전한 실내 공간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번개는 예측할 수 없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를 맞았을 경우 번개의 전기는 전도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자동차의 금속은 전도도가 매우 높은 재질이기 때문에 번개가 쳤을 경우 자동차 표면을 따라 전기가 흐르게 되고 자동차는 지면과 붙어 있기 때문에 지면적으로 번개 전기를 흘려 보내게 됩니다.

    자동차에 금속은 내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에게 전기를 전달하지 않아서 번개가 쳤을 때 안전한 장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 칠떄 차안으로 대피하라고 하는 이유는 번개가 차에 내리치면 번개의 전기가 자동차의 외관 프레임으로 흘러서 타이어를 통해서 땅으로 흘러가 흡수 됩니다. 내부의 경우에는 부도체인 시트이기 떄문에 전기가 내부로 흐리지 않아서 차 안으로 대피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절연체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따라서, 번개가 자동차에 떨어지더라도, 번개는 자동차의 외부에서만 흐르고, 내부로 들어오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