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14

멀미약의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나이
43
성별
남성

멀미가 심한 사람들은 멀미약을 자주 먹던데 신기하게 멀미약을 먹으면 멀미를 하지 않던데 이렇게 멀미약을 먹었을때 멀미를 하지 않는 것은 멀미하게 어떤 원리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멀미는 부교감신경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과하게 분비되어 구토나 복통이 생기는 증상입니더 따라서 패치형 멀미약을 미리 붙여 놓으면 주성분인 '스코폴라민'이 아세틸콜린 활성을 방해해 멀미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약료 게시판에 문의해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멀미약이 중추신경계의 구토중추에 작용해서 억제를 시키기 때문에 멀미관련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멀미는 자율신경계 작용이 혼란해져 두통, 어지러움, 구역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멀미를 완화하는 약물들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작용합니다.

    다만 이런 신경전달물질 작용을 억제하면서 부작용으로 졸음, 입마름, 안구건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상일 약사입니다.

    멀미약은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진정기관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여 구역 구토 등을 예방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멀미약의 경우 체내의 구토를 담당하는 신체기관의 민감도 등을 떨어뜨려 작용하는 약입니다..


  • 안녕하세요.

    멀미약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멀미약을 위장관운동을 조절하여 구역 구토를 막아주는 것이 있습니다. 다른 성분으로는 진정작용을 해서 멀미를 줄여주는 약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멀미약에는 항구토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멀미가 일어나는 주요한 이유가 구토를 일으키는 신경을 자극하여서 그런건데, 이를 항구토제를 통해서 자극받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구토가 매우 심할 때 임시방편으로 멀미약을 이용하여 구토를 완화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멀미약중에 스코폴아민 성분은 구통중추를 억제하여 구역구토증상을 예방하며, 항콜린 작용을 하는 약의 경우 과도하게 자극된 전정기관을 억제하여 멀미증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