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똑똑한칠팔매132
똑똑한칠팔매13223.04.19

고조선 시대 예술작품도 발견이 된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주같은곳에 가면 과거 신라시대 유물이 많이 발견이 된다고 하는데요. 궁금한 것은 고조선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직접 본적도, 들어본적도 없습니다.

혹시 고조선 시대 유물이 출토된게 있긴 한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민사학의 낡은 역사교육으로 고조선에 중국보다 발달된 청동문물이 있었다는 것을 가르치지 않고 있습니다.

    단군조선이 성립되기 이전인 기원전 4000년기 후반기 이미 청동기를 만들어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평양시 상원군 룡곡리 5호 고인돌에서 나온 비파형 창끝의 청동기 평안남도 덕천시 남양리 유적에서 나온 비파형 창끝의 청동기 평양시 상원군 룡곡리 4호 고인돌에서 나온 청동단추 등은 기원전 25세기에 나온 유물들이라고 합니다.

    고조선의 발달된 청동기술이 세계 최고임은 1960년대에 발굴된 다뉴세문경(청동거울)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지름 21.2㎝의 원형유물에는 수많은 직선을 이어서 그려진 삼각 문양과 백여 개의 동심원이 있습니다. 만 3000개가 넘는 정교한 선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0.3㎜에 불과합니다. 한 치의 오차도 없이 화려하게 새겨 넣은 디자인을 보면 감탄을 자아냅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조선 시대에는 기록이나 유물로 전해져 있는 예술작품이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몇몇 유물에서 고조선 시대의 예술적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61년 경기도 부천시 내의 해인사지에서 출토된 금동향로(香爐, 향로)는 고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예술 작품 중 하나로 귀중하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향로는 직경 20cm, 높이 11.5cm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과 구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서울 광진구 구의동에서는 2008년에 고조선 시대의 금도자기(金陶紀)가 발견되어 이 또한 고조선 시대의 예술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고조선 시대의 건축물, 도자기, 기타 유물에서도 예술적인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조선 시대 예술작품은 파괴되었거나 유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발견된 것은 매우 제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