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저축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갓 20대 부터 20대 후반까지 저축을 한다면
얼마정도 모으는게 맞고 얼마나 모아야 많이 모으는 걸까요?
고등학교 때부터 알바하며 저축에 재미를 들어
조금씩 하고 있었는데 그래서 친구들 사이에서
장난으로 짠순이라는 별명도 있었고 돈 많이 모았다는 소리도 가끔씩 들었어요
물론 엄청 아끼고 산 것도 아니지만 나름 빡세게 모았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20살되니 주변 취업 나간 친구들도 있고 주식하는 친구들 보니 뭐하나 싶더라구요 그 친구들이 다 저축을 하는 거도 아니지만 난 열심히 모아서 큰 돈인줄 알았는데 얘들한텐 이미 흔하게 있는 돈 같아서 보잘 것 없어졌습니다 ㅜ
그래서 갓 20살부터 초반 중반 후반까지
평균(적당한) 저축 비용이 어느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다보니 꼭 특정 나이에 얼마가 있어야 한다는 아니지만,
말씀하신 상황을 보았을 때, 정말 잘하고 있고 긍정적인 상황인 것 같습니다.
20대 초반부터 저축을 꾸준히 해오셨다는 것은 사실 그 돈의 크기보다도
저축에 대한 습관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에 좀 더 빠르게 취업한 친구나 투자로 돈을 불리는 친구와 비교하진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나중에 취업을 하시면 현재의 습관들에 의해 더 빠르게 돈을 모으실 수 있을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도 공부하시면서 안정적으로 경제관념을 만들어가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영록 경제전문가입니다.
20대부터 일찍 이것저것 금융상품을 접해두는건 확실히 장기적으로 유익합니다
임의가입으로 국민연금도 가입해보고,
절세계좌(ISA,연금저축)도 가입해보고,
군인적금이나 미거래 고객을 위한 특판상품도 있고,
아니면 아예 해외직접투자도 괜찮습니다
(부동산도 좋지만 소득증빙 없이는 증여세 이슈가 있습니다)
위에 있는 것들 모두 하나하나 10만원 정도면 접근가능하기에 크게 부담은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그보다는 투자할 돈의 절반 정도를 투자 공부(책,강의,영상)에 쓰시는 쪽을 권장드립니다.
많이 알고서 실수를 해야 내가 가려는 이 길이 내게 맞는지
더 빨리 깨달을 수 있습니다.
제게 투자서적을 딱 한권만 추천해달라고 하신다면,
존 보글 -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를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신의 소득이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대라면 평균 저축 금액이 약 87만원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0살초반에서 후반까지 얼마를 모아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개인마다 삶의 진행이 다르기 때문에 얼마를 모아야 한다고 말하기엔 어렵지만
일반적인 선언적 목표로 1억원 정도 모을 수 있다면
잘 모았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20대의 저축도 좋습니다. 이러한 여윳돈은 파킹통장에 이체를 하여 단기 보유를 하거나 채권, 주식, 예적금 무엇을 하더라도 하나의 경험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본인의 투자성향이 안전성이라면 일단 주식보다는 예적금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자금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균 저축비용은 자신의 생활비를 제외한 금액을 모두 저축하는 것이 나중에 목돈을 만드는 방법이라 생각하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대에는 사회초년생으로 저축에 가장 큰 비중을 두는게 좋습니다.
특히나 가정을 꾸리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이 크기 때문에 결혼자금, 주택자금, 차량 등 이때 가장 많이 준비해야 하죠.
20%에는 보통 60%이상 수입을 저축하는게 바람직 합니다.
하고싶은것도 많고 사고싶은 것도 많으나 사회초년생의 특성상 수입이 적기 때문에 아끼는게 중요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얼마씩 딱 이 정도 저축을 했네보다는 월 수입의 일정금액을 저축한다는 표현이 좋겠네요.
20대 ~ 30대시라면 미혼이시라는 가정하에 월 수입의 50% 저축을 추천드립니다!